많은 비로 섬진강 제방이 일부 무너지면서 전북 남원에 어제 큰 물난리가 났는데요. <br /> <br />비가 그치고 물이 조금씩 빠지면서 피해 상황이 적나라하게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김민성 기자! <br /> <br />네 이제는 어제보다 상당히 물이 빠진 것 같네요, 현장 상황 어떻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앞선 중계에서 무너져 내린 섬진강 제방의 모습 그리고 그를 통해 들어온 물 때문에 침수피해를 입은 민가들 피해복구 상황 전해 드렸는데요. <br /> <br />이번에는 농작물 피해상황 보기 위해서 이곳으로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제 뒤쪽 한번 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비닐하우스 여러 동이 물 때문에 완전히 무너져 내린 상황이고요. <br /> <br />오른쪽으로 조금 시야를 돌리면 아직 성한 비닐하우스도 많이 보이기는 한데 여전히 그 위쪽은 완전히 침수된 상태이고 그 위쪽으로 지붕을 봐도 흙이 잔뜩 쌓여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 위까지 물이 찼던 상황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왼쪽으로 살짝 카메라 옮겨보면 밭을 한번 볼 텐데요. <br /> <br />어떤 게 심겨 있었는지 파악하기 어려울 정도로 물 때문에 짓이겨져 있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왼쪽으로 조금만 더 와보면 복구가 시급해 보이는데 전신주에서 나와 있는 전선이 물이 들어찬 논에 그대로 처박혀 있습니다. 지금 당장 어떤 사고가 날지 알 수 없는 상황일 정도로 피해가 심각해 보이고 복구가 당장 시급해 보입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물이 드러나면서 정확한 피해상황도 속속 파악되고 있습니다. 먼저 제방 120m가 앞서 보여드렸던 곳이죠. 거기가 붕괴됐고 그밖에 섬진강 줄기 내 다른 곳의 제방 3군데가 더 유실됐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7일부터 남원에 432mm가 내렸는데이번 비로 전라북도에만 이재민 1700여 명이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중 730명이 인구 8만 규모의 남원시에 몰려 있는데요. <br /> <br />특히 섬진강댐 방류 영향으로 이곳 금지면과 송동면, 대강면 등에서 5백여 명이 인근 학교와 문화센터 등으로 대피했습니다. <br /> <br />재산 피해도 심각합니다. <br /> <br />남원에서 소 380마리, 닭 18만 마리와 벼 750ha가 침수됐습니다. <br /> <br />또 산사태 75건이 발생해 토사 882ha가 유출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피해가 크지만, 복구작업이 언제 시작될지는 아직 미지수입니다. <br /> <br />섬진강 관리 책임이 있는 익산지방국토관리청은 우선 섬진강댐 방류가 계속되는 만큼 물이 빠지는 추이를 지켜보겠다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일단 안전만 확보된다면 곧바로 현장에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00809161335975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