매물 부족 속 전셋값 상승세 지속 <br />임대차 보호법 시행 등 겹쳐 집주인 ’월세 선호’ <br />4% ’전월세전환율’, 주담대 연계 2%대 인하 추진<br /><br /> <br />임대차보호법 시행 이후 서울을 중심으로 전세 매물이 급격하게 줄면서 가격도 크게 오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다 일부 다주택자들이 종부세 등 부동산 세금이 강화되자 월세를 큰 폭으로 올려 세 부담을 전가하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정부와 여당은 전세에서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하는 월 임대료 비율, 즉 '전월세전환율'을 현재 2%대인 주택담보대출 금리와 연계해 조정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현우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서울, 58주 연속 상승! <br /> <br />경기도, 5년 4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! <br /> <br />전세 시장이 요동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주 서울 전셋값은 0.17% 올라 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. <br /> <br />경기도는 0.29%, 전국은 0.2% 올라 올해 들어 주간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세 계약 기간이 4년으로 늘어나고, 계약 갱신 시 보증금 인상률이 5%로 제한되는 등 임대차 보호법이 시행되자 집주인들이 신규 계약 때 최대한 올려 받으려 하면서 크게 오른 겁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다 집값 상승과 보유세 강화 등으로 집주인들의 '월세 선호' 현상이 맞물려 전세를 찾기도 어려운 상황! <br /> <br />이처럼 '전세 잠김' 현상이 이어지면서 지난달 전국 전셋값은 역대 최고 수준에 이르렀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전국 주택 전세 가격 지수는 100.9로 관련 통계가 작성된 지난 1986년 이후 최고치입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전세가가 치솟는 상황에서, 일부 임대인들의 월세전환에 따른 세입자 부담을 줄이기 위해 여당은 현재 4% 수준인 전월세전환율 인하를 추진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태년 /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(어제) : 주택담보대출 금리와 연계해 전월세전환율을 조정하는 등 전·월세 전환을 최소화하고 전·월세 전환으로 인한 부담이 임차인에게 전가되는 일이 없도록 당정 간 협의를 거쳐서 보완책을 마련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급격한 월세 전환에 따른 세입자들의 월 임대료 부담 증가를 막겠다는 취지입니다. <br /> <br />다주택자 규제와 세입자 보호, 여기에다 추가 공급 대책까지 맞물리면서 부동산 시장은 당분간 거래 절벽 속 관망세가 이어질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[김규정 / NH투자증권 부동산연구위원 : 당분간은 시장이 서로(임대인과 임차인) 눈치 보기와 관망세를 보이다가 이후에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00811044455762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