홍콩 문제를 둘러싼 미국과 중국 갈등이 갈수록 격화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이 홍콩과 맺은 범죄인 인도 등 3가지 양자 협정의 중단과 종료를 홍콩에 통보하자 중국은 곧바로 홍콩과 미국 간의 사법공조를 중단하는 것으로 맞대응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원배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모건 오테이거스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홍콩과 맺은 범죄인 인도와 조세 등 3가지 양자 협정의 중단과 종료를 홍콩에 통보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이번 조치가 "홍콩 국민의 자유를 탄압한 국가보안법을 도입한 중국의 결정에 관해 미국의 깊은 우려를 강조하는 것"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오테이거스 대변인은 이번 조치에 탈주범 인도, 국제 수형자 이송, 선박의 국제운항 수입에 대한 상호 세금 면제가 포함된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도 트위터에 "중국공산당은 홍콩민의 자유와 자치권을 탄압하기로 선택했다"며 "중국공산당의 조치 때문에 미국은 3개의 양자 협정을 종료하거나 중단한다"고 확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의 조치에 대해 중국은 즉각 맞대응했습니다. <br /> <br />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"중국은 미국의 잘못된 행위와 관련해 홍콩 특구와 미국 간의 사법공조 조약 이행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"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[자오리젠 / 중국 외교부 대변인 : 홍콩과 체결한 3가지 양자 협정을 중단하거나 종료하기로 한 미국 정부의 일방적인 결정을 강력히 반대하고 규탄합니다.] <br /> <br />홍콩 정부 대변인은 이번 조치는 홍콩을 노리개로 삼아 미국과 중국 관계에 장애를 초래하려는 움직임으로 보인다고 비난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조치는 11월 대선을 앞두고 지지층 결집에 나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중국 때리기 일환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 후인 지난달 14일 홍콩 정상화에 관한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홍콩에 대한 특별대우를 끝내겠다고 공식 천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은 이후 지난 7일 홍콩의 정치적 자유 탄압을 이유로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을 비롯해 홍콩과 중국 관리 11명에 대한 제재를 가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또 홍콩에서 미국으로 수출하기 위해 만든 상품에 9월 25일 이후부터는 중국산이라고 표기하도록 의무화하는 등 특혜대우 축소와 관련자 제재 조처를 취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원배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00820211749278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