두 자릿수 내려갔지만…'깜깜이 감염' 여전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'천만시민 멈춤 주간'을 선포한 서울시의 신규 확진자 수가 일주일만에 100명 아래로 떨어졌습니다.<br /><br />거셌던 확산세가 잠시 주춤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감염 경로를 알 수 없는 '깜깜이 감염' 비율이 높아 우려는 여전합니다.<br /><br />박상률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 "전파 경로를 찾지 못한 감염 경로 확인 중인 환자의 증가세도 계속되는 실정입니다."<br /><br />8월 30일 하루동안 서울의 신규 확진자는 94명. 일일 신규 확진자가 7일 만에 100명 밑으로 떨어졌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감염경로를 모르는 '깜깜이 감염' 환자 수는 24명 더 늘어 현재까지 661명의 감염경로가 확실치 않습니다.<br /><br />이 같은 깜깜이 감염 환자 비율은 최근 서울에서 급격히 늘고 있는 상황.<br /><br />서울의 전체 확진자 가운데 감염경로가 불분명한 사례는 8월 둘째 주 7%대에서 2주만에 4배 넘게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깜깜이 감염 증가는 사랑제일교회에서 시작된 산발적인 'n차 감염'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됩니다.<br /><br />당시 교회 예배에 참석했던 사람 가운데 아직도 연락이 닿지 않는 사람이 상당한데, 만약 이들 중 확진자가 있다면 또다른 깜깜이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셈입니다.<br /><br />현재의 역학조사 방식이 한계에 부딪혔다는 점도 우려스러운 부분입니다.<br /><br /> "확진자의 동선을 따라서 접촉자들을 찾아서 검사도 하고 자가격리도 하고, 생활 치료센터도 격리를 해야 되는데 그걸 (정부가) 못 쫓아가고 있는 거예요."<br /><br />깜깜이 감염이 늘수록 사회적 거리두기는 지금보다 한층 더 강화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상률입니다. (srpark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