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최영주 앵커, 오동건 앵커 <br />■ 출연 : 최인진 / 기상학 박사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번에는 전문가와 함께 태풍 전망과 예상되는 피해 대처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전 한국형 수치모델 개발산업단의 최인진 박사 나오셨습니다. 안녕하십니까. <br /> <br />지금 태풍이 제주도를 지나면서 엄청난 비바람이 몰아쳤고 지금 태풍 마이삭의 경로, 예상됐던 경로랑 같은 경로로 올라오고 있다고 봐야 하는 겁니까? <br /> <br />[최인진] <br />맞습니다. 1시간 전에 발표됐던 경로와 지금 경로, 지금 살펴보면 기상청에서 이전에 예상했던 진로를 그대로 올라오는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속도는 어떻습니까? 예상했던 속도와 비슷한가요? <br /> <br />[최인진] <br />속도는 사실 9시 기준으로 했을 때는 34km 정도, 39km였네요. 시속 39km 정도로 이동을 해서 거제에 한두 시경에, 새벽 한두 시경에 상륙할 것으로 전망했는데요. <br /> <br />10시에 발표된 것을 보면 이동 속도가 좀 느려졌습니다. 그래서 시속 28km 정도로 해서 상륙하는 시간이 1시간 정도 늦춰졌습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거제에 2시에서 3시경 상륙할 것이라고 전망을 하고 있고요. 이렇게 이동속도가 다시 늦어졌다는 것은 태풍의 세력이 크게 약화되지 않고 세력을 유지한 채로 올라오고 있다는 것을 방증하는 것이겠죠. <br /> <br /> <br />그런 만큼 더 큰 피해를 남길 수도 있다라는 우려스러운 부분이 드는 대목인데 지난 8호 태풍 바비와는 강도가 굉장히 비슷하다고 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이번에 체감되는 그 피해 양상이랄까요, 이런 건 더 커 보이거든요. <br /> <br />[최인진] <br />8호 태풍 바비와 비교해 봤을 때 우리나라 제주에 최근접시기의 중심 기압과 중심 최대 풍속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. 두 태풍 모두 매우 강한 강도를 보이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하지만 바비의 경우에는 서해안에서 약 150km 이상 떨어진 서해상을 경유해서 올라갔기 때문에 사실은 한반도 내륙 안쪽으로는 그 피해를 체감하기가 쉽지 않았을 텐데요. <br /> <br />태풍의 중심에 가까웠던 제주나 그리고 서해안 도서지역에서는 사실 어마어마한 강풍이 불기는 했습니다. 흑산도에서 초속 47.4m의 기록이 있었고요. <br /> <br />그리고 공식기록은 아닙니다마는 가거도에서 66.1m의 초속 바람이 불었다고 지금 기상청에서 어제 발표한 바 있거든요. <br /> <br />그래서 태풍의 중심에 근접할수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8_20200902232019571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