당정-의협 '원점 재검토' 합의…정치권 엇갈린 반응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당정과 대한의사협회의 합의로 집단휴진 사태가 멈추자 정치권은 일제히 환영의 뜻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다만 각 당 별로 입장이 조금씩은 달랐는데요.<br /><br />국회 취재 기자 연결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이준흠 기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극단으로 치닫던 정부와 의사단체의 갈등은 지난 1일 민주당 한정애 정책위의장과 최대집 대한의사협회장의 비공개 회동부터 풀리기 시작했습니다.<br /><br />민주당은 모든 사안을 원점에서 다시 논의할 수 있다는 뜻을 밝혔고, 결국 이는 집단 휴업 사태 해결의 실마리가 됐습니다.<br /><br />민주당은 이번 합의를 "진정성 있는 대화의 결과"라고 평가했습니다.<br /><br />사태 초기에만 해도 업무개시 명령 불이행 의사를 고발하던 강경 대응 기조에서 한발 물러난 것입니다.<br /><br />민주당은 늦어도 다음달까지는 의정 협의체를 만들어 의료계의 입장을 수렴하고,<br /><br />야당이 참여한 국회 공공의료 특별위원회에서 입법과 예산 문제를 다룰 방침입니다.<br /><br />다만 간호사 출신 이수진 의원이 의대 정원 확대와 공공의료 확충 등 당이 추진하려던 정책과 진료 복귀를 맞바꾼 것일 뿐이라고 지적하는 등 당 일각에서는 의사들에 굴복한 것이라는 비판도 함께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정의당 역시 "의사들의 이기적인 집단행동에 국가적 의제를 물려버리고 만 것이라며 유감을 표했습니다.<br /><br />반면 국민의힘은 "이제라도 다행"이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정부가 뜬금없는 논란을 만들어 2주 동안 소모적인 극한 대치를 빚었고,<br /><br />의료진과 국민, 급기야 의사와 간호사까지 분열시키려 했다고 지적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 기자,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으로 오늘도 국회가 사실상 문을 닫았다고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어제 국회 본관으로 출퇴근하는 국민의힘 당직자 한명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아 국회가 또 한번 멈춰선 것입니다.<br /><br />국회는 일단 내일까지 건물 출입을 폐쇄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이 때문에 보통 국회 소식을 본청 안에서 전해드리는 저희도 지금은 야외에서 중계를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다행히 확진자를 접촉한 국민의힘 이종배 정책위의장 등 1차 접촉자 33명은 오늘 아침 모두 음성 판정을 받았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방역당국의 역학조사 과정에서 추가 검사가 필요한 27명이 확인되면서, 국회는 이들의 검사 결과를 지켜본 뒤 내일 청사 운영 방침을 결정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한편 이종배 의장과 주먹인사를 해 일단 귀가했던 민주당 이낙연 대표는 검사 대상은 아니지만 만약을 대비해 어제 또다시 코로나19 검사를 받았습니다.<br /><br />결과가 음성으로 나와 앞서 민주당과 의협의 합의문 서명식에도 참석하는 등 활동을 재개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국회에서 전해드렸습니다. (humi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