중국 동영상 앱 틱톡 매각 협상이 미국 기업 오라클의 참여로 거의 성사되는 듯 하다가 다시 빨간 불이 켜졌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이 승인을 거부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에서 강성웅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오라클의 틱톡 인수가 환상적 거래가 될 거라고 추켜세웠던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이 달라졌습니다. <br /> <br />아직 예비적인 승인을 한 단계일 뿐이며 승인을 거부할 수 있다고 말한 겁니다. <br /> <br />[도널드 트럼프 / 미국 대통령 : 거래를 그대로 승인할 수도 있지만 그게 안 되면 거부할 수도 있습니다. 예비 승인을 했는데 두고 봅시다. 완전한 보안을 갖춰야 합니다. 그게 가장 중요합니다.] <br /> <br />트럼프 대통령은 틱톡의 지배권을 미국에 넘기지 않으면 거래를 승인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당초 오라클과 월마트 등 미국 기업들은 미국에 새로 설립될 '틱톡 글로벌'의 지분을 50% 넘게 가질 것으로 예상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중국 본사 바이트댄스는 미국 틱톡의 지분 80%를 차지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결국 트럼프 대통령이 승인 거부 카드를 빼들었지만 해결이 쉽지만은 않아 보입니다. <br /> <br />틱톡의 경영권이 미국에 넘어갈 경우 이번에는 중국 정부가 승인을 거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왕원빈 / 중국 외교부 대변인 : 미국에서 외국 기업의 투자 및 경영에 개방적이고 공평하며, 공정하고 비차별적인 환경을 제공할 것을 촉구합니다.] <br /> <br />관변 매체들은 틱톡 인수를 '강도짓'에 비유하며 중국 정부의 승인이 쉽지 않을 걸로 관측했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행정부의 중국 기업 때리기에 맞서 중국도 미국 기업에 보복을 시작했다는 분석도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월스트리트저널은 중국 국영 기업들이 미국 시스코 사의 통신장비 구매를 끊었다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 정부는 미국의 일방적 제재에 제동을 걸면서 버티기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동시에 최고 지도부가 잇따라 산업 현장을 찾아 핵심 기술의 개발을 독려하며 장기전에 대비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에서 YTN 강성웅[swkang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00922231706396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