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해 10월, 휠체어 탑승 고속버스 시범 운행 <br />대부분 KTX 노선과 겹쳐…"노선 다변화 필요"<br /><br /> <br />지난해 10월, 정부가 장애인들의 이동권 보장을 위해 휠체어를 실을 수 있는 고속버스를 시범 운영하기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지금까지 체험단을 제외한 이용객은 겨우 16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왜 이럴까요? 한연희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"우리의 고속버스 타기 투쟁, 고속버스 타기 캠페인은 계속 이어져 왔습니다." <br /> <br />휠체어를 탄 장애인들에게 명절 귀성 전쟁은 꿈같은 이야기였습니다. <br /> <br />휠체어를 실을 수 있는 장거리 버스가 없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장애인단체의 끈질긴 요구와 인권위 권고, 법원 판결이 쌓인 끝에 지난해 10월, 국내 최초로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고속버스가 도입됐습니다. <br /> <br />장애인 등 교통약자가 모든 교통수단을 이용해 이동할 권리가 있다고 한 교통약자법이 만들어진 이후 13년 만의 결과물입니다. <br /> <br />버스 1대에 휠체어 2대를 실을 수 있는데, 현재는 서울~부산, 서울~강릉, 서울~전주, 서울~당진 등 4개 노선에서 버스 업체 7곳이 각 1대씩 운행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일단 올해 말까지를 시범운영 기간으로 정했는데, 지난해 10월부터 지난 7월까지 이용객은 61명에 불과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나마도 체험단이 45명으로 대부분이고 일반 이용객은 16명에 그쳤습니다. <br /> <br />오랜 노력 끝에 얻어낸 휠체어 탑승 고속버스를 장애인들은 왜 외면할까. <br /> <br />가장 큰 문제는 대부분 노선이 이미 인프라가 구축된 KTX와 겹친다는 점입니다. <br /> <br />KTX가 닿지 않는 곳도 많은데, 몇 안 되는 휠체어 탑승 고속버스마저 이미 KTX로 갈 수 있는 곳으로 배치됐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정다운 /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정책실장 : (노선을 만들 때) 되도록 기차역이 없거나 접근이 어려운 지역을 버스로 갈 수 있게 노선을 만들었으면 좋겠다고 의견 개진을 몇 번 했었는데…. 당진만 KTX가 없고 나머지는 KTX로 갈 수 있다 보니….] <br /> <br />또 승차를 위해 버스 출발일 기준으로 3일 전까지는 예매를 완료해야 해 번거롭고 터미널에 내린 뒤 이용할 교통수단과의 연계도 아쉬운 점으로 꼽힙니다. <br /> <br />[김교흥 / 더불어민주당 의원 : 휠체어 탑승 고속버스 운영 사업은 굉장히 좋은 제도입니다. 운행 횟수나 노선을 다변화해서 장애인분들이 효율적으로 탑승할 수 있게, 제도적 개선책이 필요한 시점입니다.] <br /> <br />정부는 올해 말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01003074333166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