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로나19 장기화로 국내 고용 시장은 가장 불안한 한 해를 보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상용직, 그러니까 정규직 근로자 수가 11년 만에 최대 폭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나 걱정을 더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그렇다면 각 지역의 상황은 어떨까요. <br /> <br />이승훈 기자가 정리해 봤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요즘 직장인들은 얼마를 받고 또 얼마나 일하고 있는지, 그 지역별 기준은 해마다 4월의 월급과 근로 시간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5인 이상 사업체 상용직 1인 임금은 서울이 418만 원으로 가장 많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제주 289만 원, 대구 314만 원 등으로 지역에 따라 차이는 컸습니다. <br /> <br />일하는 시간은 충북이 168.7시간으로 가장 많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제주는 153시간을 조금 넘겨 가장 적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, 코로나의 직격탄을 맞은 대구 직장인의 근로시간이 가장 많이 줄어들었고, 물가를 반영한 실질임금은 수치상의 임금과 또 달랐습니다. <br /> <br />[권기섭 / 고용노동부 노동정책실장 : 전년 대비 임금상승률은 경기도가 가장 높았던 반면 울산시가 가장 낮게 나타났는데 제조업 등 관련 산업의 임금체계 변경의 영향으로 보입니다.] <br /> <br />지역을 좀 더 나누면, 서울 강남구의 사업체 종사자가 64만9천 명으로 가장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반면 경북 울릉군의 직장인은 2천9백 명에 불과했습니다. <br /> <br />분명한 건 코로나로 줄어든 민간 일자리의 감소분을 정부의 단기 일자리로 채우는 모양새가 요즘 고용 통계에선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YTN 이승훈[shoonyi@ytn.co.kr]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. <br />[카카오톡]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[전화] 02-398-8585 [메일] social@ytn.co.kr [온라인 제보] www.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01004055001392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