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울 전셋값 연일 신고가…"마땅한 카드 없어"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최근 서울에서 전세 아파트가 품귀를 빚으며 전셋값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죠.<br /><br />홍남기 경제부총리도 살던 전세를 내주고 집을 구해야 할 처지라고 실토했을 정도인데요.<br /><br />정부가 다시 대책 마련을 고심 중인데 과연 시장의 불안을 잠재울 수 있을까요.<br /><br />이재동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올해 서울 아파트 전세 거래를 가격순으로 줄을 세웠을 때 가장 중간에 있는 가격은 4억원입니다.<br /><br />그런데 경기도와 인천의 아파트 매매 중간가격은 각각 3억2,000만원과 2억6,500만원.<br /><br />서울에서 전세 얻을 돈이면 경기·인천의 아파트를 살 수 있는 경우가 그만큼 많았다는 뜻입니다.<br /><br />여기에 지난 7월 새 임대차법 시행 뒤 최고가 전세 계약이 도심과 외곽 가릴 것 없이 이뤄지며 서울은 67주째 오름세를 이어갔습니다.<br /><br />그야말로 '부르는 게 값'인 상황.<br /><br />정부도 시장 상황을 무겁게 바라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전세시장이 안정화되지 못해서 저희도 안타깝기는 합니다만 계속 정부가 추가적으로 대책을 강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."<br /><br />문제는 전셋값을 잡을 정부의 마땅한 카드가 없다는 점입니다.<br /><br />전세 수요 분산을 위한 월세 지출 세액공제 확대나 전·월세 전환율 규정 강화 등이 언급되지만, 전셋값 상승의 근본 원인인 물량 부족 문제를 풀지 않고는 가격을 잡기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 "임대주택 늘리겠다, 그런 이야기는 큰 의미가 없는 거죠. 실질적으로 (전세)공급 물량이 없어요. 현실적인 대안을 찾기는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."<br /><br />특히, 전셋값이 매매가격을 웃도는 아파트들까지 나타나면서 최근 진정세를 보이던 집값까지 자극할 수 있다는 점은 임차인들의 불안을 더욱 키우는 부분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