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br /> “라떼는 말이야, 길이 밀리면 왜 밀리는지 모르고 가다서다를 반복했어. 이젠 자율주행차로 교통정보를 모두 전송해 주니까 막힘없이 이동할 수 있지.” <br /> 16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(DDP)에서 열린 제3차 한국판 뉴딜 전략회의에서 홍남기 경제부총리에 이어 두 번째 연사로 나선 건 1971년생 강병원 의원이었다. 강 의원은 ‘강병원 씨의 하루’라는 1인극 형식 발표를 통해 “디지털 뉴딜이 대한민국 대전환을 견인할 것”이라고 강조했다. <br /> <br /> 당초 1960년생인 홍 부총리 다음엔 1965년생 이광재 의원이 연단에 오를 예정이었다. 하지만 전날 리허설에서 강 의원이 먼저 올라가는 것으로 식순이 변경됐다고 한다. 행사를 지켜본 민주당 관계자는 “확실히 70년대생 의원들은 발표 형식도 예전과 다르다”며 “K뉴딜 정책이 최대 현안이 되면서 70년대생 의원들의 역할도 늘어나고 있다”고 말했다. <br /> <br /> <br /> ━<br /> 70년대생, 정책·실무 전면에 <br /> <br /> 최근 정치권에서 70년대생 정치인들의 보폭이 커지고 있다. 21대 국회에서 1970년대생 국회의원은 모두 43명이다. 이른바 ‘86세대’라 불리는 60년대생(174명)에 비하면 훨씬 적지만, 70년대 생들은 최근 각 당의 정책·실무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. 전대협(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)으로 상징되는 86세대의 조직력은 없지만, 각자 다른 경험과 유연성, 새로움이 강점으로 꼽힌다. <br /> <br /> 민주당에서는 강병원 의원 외에 허영 대변인(1970년생), 전재수 원내선임부대표, 천준호 미래주거추진단 부단장(이상 1971년생), 박상혁 원내부대표, 강훈식 K뉴딜위 균형발전뉴딜분과장(이상 1973년생), 김용민 원내부대표(1976년생), 강선우 원내대변인(1978년생)도 당직자로 활동 중이다. 정책·실무 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news.joins.com/article/23921952?cloc=dailymotion</a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