트럼프냐 바이든이냐…한반도 정책도 큰 변화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차기 미국 대통령이 누가 되느냐에 따라 한반도도 큰 영향을 받게 될 텐데요.<br /><br />트럼프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하면 북미 협상에 다시 동력이 붙을 것으로 보이고 바이든 후보가 당선된다면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우선주의로 훼손된 동맹복원이 우선시 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백나리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대북정책을 비롯한 외교·안보 정책 노선에서 두 후보는 극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누가 당선되느냐에 따라 한반도 정세, 한미동맹 등에 대대적인 변화가 있을 수 있는 것입니다.<br /><br />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한다면 중단됐던 톱다운 방식 대화가 재개되면서 북미 협상이 변곡점을 맞을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대선 전 종전선언을 포함한 북한의 비핵화에 대해 한미간에 긴밀한 논의가 있었고 재선 이후 상황에도 대비해온 만큼 북한과의 협상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 "김정은 위원장과 나는 다른 종류의 관계를 갖고 있습니다. 우리는 매우 좋은 관계고 전쟁은 없습니다."<br /><br />한미 동맹관계에 있어선 '미국 우선주의'를 앞세운 압박정책이 가속화할 가능성이 큽니다.<br /><br />방위비 분담금 인상과 이에 연계된 주한미군 감축 등의 정책이 현실화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것입니다.<br /><br />반면 외교안보 정책의 핵심으로 동맹복원을 강조하고 있는 조 바이든 후보가 당선된다면 상황은 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증액 압박 속에 표류를 면치 못하던 방위비 협상이 탄력을 받는 동시에 주한미군 철수론도 수면 아래로 내려갈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바이든 행정부 역시 중국의 추격 속에 자국 이익 보호에 강한 입장을 낼 가능성을 배제할 순 없습니다.<br /><br />대북정책은 대대적인 변화가 예상됩니다.<br /><br />트럼프 대통령의 '톱다운식' 대북접근은 폐기될 공산이 큽니다.<br /><br />대신 주변국과의 협력을 통한 외교적 해법에 초점이 맞춰질 전망입니다.<br /><br /> "김정은 위원장이 핵 능력을 감축하는데 동의하고 한반도가 핵무기 없는 구역이 돼야 한다는데 동의해야 합니다."<br /><br />바이든 후보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날 의사를 밝히면서도 핵능력 감축이라는 조건을 달았고 김 위원장에 대한 불신도 드러낸 만큼 협상 여건이 조성되기까진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 백나리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