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달 초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한 프랑스는 하루 수만 명씩 무더기 확진이 쏟아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야간 통행 금지를 실시하고 있지만 급속한 확산세를 막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. <br /> <br />한인사회 역시 일상생활에 차질이 불가피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프랑스 소식은 강하나 리포터가 전해드립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코로나19 사태 이후 역대 최고 일일 신규 확진자 수를 기록하고 있는 프랑스. <br /> <br />수도권 병원 중환자실 입원자 중 약 70%가 코로나19 확진자로, 의료체계도 한계에 다다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에마뉘엘 마크롱 / 프랑스 대통령 : EU 파트너들과의 의견 교환 그리고 장·단점을 따져본 후 금요일부터 봉쇄조치의 재시행이 필요하다고 판단했습니다.] <br /> <br />[장 프랑수아 델프라시 / 프랑스 과학위원회 회장 : 위태로운 상황입니다. 신규 확진자가 5만 명을 넘고 있는데 실제 확진자는 두 배에 달하는 10만 명으로 추측합니다.] <br /> <br />2차 확산이 진행되면서 예정됐던 행사들도 타격을 입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입양인 가족 80여 명이 참가할 예정이던 이 한국어 캠프는 10명 이상 모임을 금지하는 방역수칙에 따라 다섯 가족만 참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캠프에 참석하지 못한 입양인 가족들은 아쉬운 대로 온라인을 통해 수업을 들어야 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장석 / 프랑스 한글학교협의회 회장 : 현장에 오지 못한 친구들이 참가를 포기한 경우도 있었는데 앞으로 이런 상황이 계속된다면 온라인 통해서도 수업받는 체제를 연구하려고 합니다.] <br /> <br />또박또박, 한글로 써보는 내 이름. <br /> <br />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입양 동포들이 아이들 손을 잡고 캠프에 참가한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[자비에 모또 / 프랑스 입양인 : 저는 2년 전에 친가족을 만났어요. 이 캠프에서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워 친가족과 더 쉽게 대화하고 싶습니다.] <br /> <br />[션 모또 / 자비에 아들 : 한국 문화를 배울 수 있어 좋았어요. 아빠가 태극기 그리는 것을 보고 대단하다고 생각했어요.] <br /> <br />끝 모를 재확산으로 프랑스가 코로나19 통제권을 상실했다는 이야기까지 나오는 가운데, 입양 동포들은 이번 위기를 잘 극복해 모국을 왕래하는 날이 오길 기다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 르포슈 / 프랑스 입양인 : 올해는 한국을 못 갈 거 같아요. 2022년이나 2023년에는 한국을 갈 수 있을까요?] <br /> <br />[상드린 코스트 / 프랑스 입양인 : 서울뿐 아니라 가보지 못한 다른 도시들이 보고 싶어요. 가족과 빨리 다시 한국에 갈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replay/view.php?idx=48&key=20201030121953295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