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 세계의 코로나 재확산이 심각해지면서 비교적 방역에 성공했다고 알려진 중유럽도 비상이 걸렸습니다. <br /> <br />체코와 슬로바키아 등에서는 연일 확진자 수가 증가하면서 지역 봉쇄령과 방역 정책을 펼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관광 대국 크로아티아의 상황도 좋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김유광 리포터가 크로아티아 소식 전해드립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마스크를 낀 시민들이 한적해진 거리를 걸어갑니다. <br /> <br />이맘때면 관광객이 몰리던 자그레브 중앙역 앞 광장에도, 손님들로 가득해야 할 길거리 장터도, 인적이 끊겨 조용하기만 합니다. <br /> <br />[젠코 / 수공예품 장인 : 지난해까지는 상당히 많이 판매했는데 올해는 (관광객이 줄어서) 전혀 그런 상황을 느끼지 못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서유럽에 비해 방역에 선방했던 중유럽은 여름 휴가철 이후 상황이 급변했습니다. <br /> <br />[다미르 그르체비치 / 치즈 생산 농가 주인 : 예년 같은 시기에 비해 판매가 많이 줄었는데 거리에 사람도 별로 없고 관광객도 많이 줄었다고 느낍니다.] <br /> <br />지난해 기준 전체 국내총생산(GDP)의 25% 이상을 관광업이 차지할 만큼 관광대국인 크로아티아. <br /> <br />연간 50만 명 이상 방문하던 한국인 관광객의 발길이 뚝 끊기면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영업하던 동포 자영업자의 타격도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크로아티아 정부가 코로나19 이전 대비 매출 40~50% 이상 떨어지는 업체에 한해 직원들의 최저임금은 보전해주겠다고 발표했지만, <br /> <br />그마저도 매출에 직접적인 도움은 되지 않아 당장 생계마저 불안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[박동광 / 한식당 요리사 : 코로나19 때문에 (현지) 사람들이 외식을 꺼리고 배달 음식을 위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는데 그것도 잘 안되는 실정입니다. 매출은 (코로나19 전 대비) 거의 10%밖에 안 나오고 있습니다. 관광객은 현재 95% 정도 감소했다고 보시면 됩니다.] <br /> <br />크로아티아 정부는 코로나19로 인해 연간 관광 매출이 지난해 대비 적게는 60%에서 최대 90%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관광객을 통해 생계를 유지하던 한인 자영업자들의 시름도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크로아티아 자그레브에서 YTN 월드 김유광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replay/view.php?idx=48&key=20201107193218005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