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 유명희 지지로 연기된 WTO총장 선출 어떻게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유명희 통상교섭본부장이 결선까지 올라갔던 세계무역기구, WTO 사무총장 선거의 공식 결론이 내려지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사실상 나아지리아 후보가 선출됐지만 미국이 유 본부장을 지지하고 나섰기 때문인데요.<br /><br />조 바이든 당선인의 등장이 어떤 영향을 끼칠지 김지수 기자가 살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민주당 조 바이든 당선인 시대가 왔지만 WTO 사무총장 선거에는 당장 큰 변화를 예상하기 어렵습니다.<br /><br />바이든 행정부가 출범하는 내년 1월 20일까지는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이 유지되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WTO는 지난달 회원국 선호도 조사에서 100개국 이상의 지지를 받은 나이지리아 후보를 차기 사무총장으로 추대하려 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유명희 본부장 지지 표명으로 상황은 복잡해졌습니다.<br /><br />사무총장 선출에는 전 회원국 동의가 필요한데 WTO로서는 탈퇴를 내세워 압박하는 세계 최대 경제국 미국을 무시할 수 없는 탓입니다.<br /><br />상황을 고려한 듯 WTO는 차기 사무총장 선출을 위해 현지시간 9일 예정했던 일반이사회를 무기 연기했습니다.<br /><br />바이든 당선인 측 입장은 아직 분명하지 않습니다.<br /><br />트럼프 행정부와 달리 다자주의 복귀 의사는 밝혔지만, 중국 견제 기조는 유지할 것으로 보여 친중 성향으로 분류되는 나이지리아 후보를 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한국으로서는 사무총장 공석의 원인을 제공하지 않아야 하지만 미국 입장을 고려하면 자진 사퇴도 어렵습니다.<br /><br /> "유명희 본부장이 자의로 사무총장 후보직을 사퇴하긴 어렵고 새 정부가 들어서는 이 시점에 바이든 행정부와 협의를 통해서 사퇴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WTO발전에도 기여하는…"<br /><br />보호무역주의 강화로 WTO의 기능 정상화가 필요한 우리 입장에서는 현명한 출구 전략이 필요한 시점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지수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