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홍콩 제재' 트럼프 정부, 유엔서 흑인사망 등 논란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의 열악한 인권 상황이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.<br /><br />인종차별과 총기 확산 등에 대한 비판이 쏟아진 가운데 중국은 자국에 대한 내정 간섭 중단을 요구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이날 미국 재무부는 홍콩관료에 대한 추가 제재를 발표하는 등 아랑곳하지 않는 듯한 모습입니다.<br /><br />박혜준 PD입니다<br /><br />[리포터]<br /><br />스위스 제네바에서 현지시간 9일 유엔 인권이사회가 열린 가운데 올해는 미국의 인권 상황과 관련한 정책이 5년 만에 평가대상에 올랐습니다.<br /><br />특히, 트럼프 행정부의 불법 이민자 자녀에 대한 억류와 인종차별 반대시위를 촉발했던 비무장 흑인의 잇따른 죽음 등이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.<br /><br />약 120개 국가가 발언에 나섰는데 중국과 이란 등 미국으로부터 인권 개선 압박을 받았던 국가들뿐 아니라 동맹국들도 인종차별과 사형제 등을 언급하며 비판에 가세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은 코로나19의 정치화와 총기 확산 등에 대한 비판과 더불어 미국이 중국내 신장위구르와 티베트, 홍콩 등의 인권 문제를 제기한 데 대해서도 지적했습니다.<br /><br /> "(미국은) 인권을 가장해 다른 나라의 내정에 정치적 목적을 위해 간섭하지 마십시오."<br /><br />이에 미국은 인권 분야에서 부족한 점은 기꺼이 인정하겠다면서도 중국의 내정간섭 중단 요구에는 아랑곳하지 않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미 재무부는 이날 홍콩 내 인권 탄압 혐의로 홍콩 관료 4명에 대해 제재키로 했다는 성명을 발표해 중국과 다시 대립각을 세웠습니다.<br /><br />지난 8월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 등 홍콩의 전·현직 고위 관리 등 11명을 제재한 데 이은 추가 제재 조치입니다.<br /><br />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이들이 홍콩보안법 집행에 조력했다며 "홍콩 주민의 자유와 홍콩의 자율성을 침해하는 데 적극적으로 협력한 경우 책임을 묻겠다는 미국의 의지를 보여주는 조치"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대해 매튜 청 홍콩 정무부총리는 "야만적인 내정간섭"이라며 "받아들일 수 없고 터무니없다"고 반발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혜준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