50년 전, 한 20대 청년이 "근로기준법을 준수하라", "노동자는 기계가 아니다"라고 외치며 산화했습니다. <br /> <br />22살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난 전태일 열사의 이야기입니다. <br /> <br />50주기를 맞아 문재인 대통령은 전태일 열사에게 훈장을 수여하고, 노동존중사회 실현을 다시금 다짐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경국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한 달 휴일 단 이틀, 하루 평균 노동시간 무려 14시간. <br /> <br />정작 일당으로 손에 쥐는 돈은 차 한 잔 값인 단돈 50원. <br /> <br />전태일 열사가 살았던 6, 70년대 우리 사회의 노동환경입니다. <br /> <br />박정희 정권이 '근대화'를 내세워 경제성장에 열을 올리던 1964년. <br /> <br />대구 출신인 16살 전태일은 동생과 동대문 평화시장에 발을 디뎠습니다. <br /> <br />의류공장 말단으로 일하던 전태일은 공장에서 자신보다 어린 여공들을 만났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평화시장에서 일하던 노동자만 2만 명가량, 대부분 나이 어린 여성 노동자들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[임현재 / 전태일 열사 동료 : 반항할 수도 없고 따질 수도 없는 시다나 보조, 나이 어린 여공들은 정말로 착취를 많이 당했고, 힘들었고….] <br /> <br />이들을 도우며 노동문제 의식을 키우던 전태일은 스무 살이 되던 해 근로기준법에 눈을 뜹니다. <br /> <br />이후 동료들과 '바보회', '삼동회'라는 단체를 꾸려 본격적인 노동운동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노동자의 권리를 찾고자 수없이 구청과 노동청을 찾아 개선을 촉구했지만, 돌아온 건 천대와 괄시뿐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결국, 1970년 11월 13일, 22살이던 전태일 열사는 평화시장 한복판에서 자신의 몸에 불을 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"근로기준법을 준수하라", "우리는 기계가 아니다", 피맺힌 외침이 시장을 메웠습니다. <br /> <br />전태일 열사의 죽음 뒤 평화시장에 노동조합이 만들어졌고, 전국에선 활발한 노동운동이 펼쳐졌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대통령 후보이던 김대중 전 대통령은 박정희 정권의 반노동자적 정책에 대한 항의라고 평가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로부터 50년 뒤, 노동 존중사회를 강조해온 문재인 대통령은 전태일 열사의 공로를 되새기며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추서했습니다. <br /> <br />문 대통령은 생전의 전태일 열사가 모범업체를 구상하며 쓴 사업계획서를 보며 사회적 기업의 모델이 됐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[문재인 대통령 : 근로기준법 준수하고, 노동자들한테 충분히 복지하고, 세금 제대로 내면서도 충분히 기업을 성공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….] <br /> <br />유가족과 지인들은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01112221505374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