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늘은 전태일 열사 50주기입니다. <br /> <br />열사가 잠들어 있는 남양주 모란공원에선 추도식이 거행됩니다. <br /> <br />전태일 열사의 유족과 노동단체는 아직 우리 노동 환경이 갈 길이 멀다며 노동자의 권리 개선을 촉구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손효정 기자! <br /> <br />그곳이 열사가 모셔져 있는데, 지금 현장 분위기는 어떤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곳은 전태일 열사의 묘역이 모셔져 있는 모란공원입니다. <br /> <br />잠시 뒤 오전 11시부터 추도식이 시작되는 만큼 아직 준비가 한창인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전태일 열사 묘역을 중심으로 열사의 정신을 계승하자는 현수막이 붙어있고 열사 동상에는 '비정규직 철폐'라는 머리띠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한쪽엔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이재명 경기도지사 등 정관계 인사들이 보낸 화환도 눈에 띄는데요. <br /> <br />오늘로 전태일 열사가 근로기준법을 준수하라며 스스로 몸에 불을 붙이고 한 줌의 재가 된 지 50년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전태일재단과 각종 노동시민단체, 그리고 전태일 열사의 유족들이 이곳이 모여 열사의 정신을 기릴 예정인데요. <br /> <br />전태일 열사는 어려운 가정 형편 때문에 17살이던 1965년부터 서울 청계천 평화시장 봉제공장에서 수습 재봉사로 일하기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하루 14시간을 일하지만 일당은 차 한 잔 값 정도인 50원에 불과했는데요. <br /> <br />1여 년 뒤 재단사가 되어 월급은 올랐지만, 열두세 살짜리 여공들이 창문도 없는 좁은 공장에서 일당 70원을 받으며 일하는 현실을 보며 사회의 모순에 눈을 떴습니다. <br /> <br />바쁜 시간을 쪼개 근로기준법을 읽고 법이 보장하는 노동자의 권리가 하나도 지켜지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된 건데요. <br /> <br />열사의 죽음으로 시작된 노동운동은 1970년대 청계피복노동조합과 1979년 YH무역 사건, 그리고 80년대 노동자대투쟁으로 이어지며 노동운동의 시초가 되었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 추도식에선 열사의 뜻을 이어 노동자의 권리 보장에 앞장선 인물을 대상으로 제28회 전태일노동상을 수여하는데요. <br /> <br />단체 부문은 전국택배연대노동조합과 개인 부문에선 민중가요 작곡가 김호철 씨가 수상자로 결정됐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열사의 죽음 이후 50년이 지났는데, 지금의 노동 현실은 어떤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안타깝지만, 아직 갈 길이 멉니다. <br /> <br />각종 통계 지표가 우리 노동 실태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OECD 국가 가운데 산업재해 사망률 1위라는 불명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01113094737134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