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 "2년간 11.4만가구 임대주택 공급…공공전세 신설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서울 전셋값이 70주 넘게 뛰고 최근엔 지방 대도시까지 전세난이 확산했는데요.<br /><br />정부가 전세난 해결을 위해 2년간 전국에 11만 가구 이상 임대주택 공급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<br /><br />배삼진 기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정부가 앞으로 2년간 수도권에 7만 가구, 서울에 3만5,000가구 등 11만4,000가구의 임대주택을 공급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또, 5년간 전용면적 60㎡에서 85㎡인 중형 공공임대주택 6만3,000가구를, 매년 2만 가구씩 공급한다는 계획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, 서울시 등 관계부처가 오늘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서민·중산층 주거 안정 지원 방안을 발표했습니다.<br /><br />공공임대 11만4,000가구는 LH 등이 공실인 공공임대를 활용하거나 신축 다세대 등의 물량을 확보해 임대로 공급하는 방식입니다.<br /><br />우선 석 달 이상 공실인 공공임대는 무주택자라면 소득 수준에 관계없이 모두 입주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현재 이런 주택은 전국에 3만9,100가구, 수도권에는 1만6,000가구가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.<br /><br />민간건설사가 지은 다세대, 오피스텔 등 신축 건물을 사전에 사들여 공급하는 매입약정 주택도 2025년까지 서울 2만 가구 등 4만4,000가구가 공급됩니다.<br /><br />이들 주택은 임대료의 최대 80%를 보증금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전세형이라고 정부는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국토부는 '공공 전세'란 이름의 신개념 공공임대를 도입해 2022년까지 1만8,000가구를 공급합니다.<br /><br />서울 5천 가구 등 수도권에 1만3천 가구가 공급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공공 전세에는 기본 4년에 2년을 연장해 살 수 있고 시세 90% 이하 수준의 보증금을 내면 됩니다.<br /><br />LH는 주로 매입약정을 통해 물량을 확보하면서 기존 다세대 주택 매입에도 나섭니다.<br /><br />특히 빈 상가와 관광호텔 등 숙박시설을 주택으로 개조해 2022년까지 서울 5,400가구, 전국 1만3,000가구의 공공임대를 공급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일부 공공주택의 입주와 청약 시기도 앞당깁니다.<br /><br />공공주택 건설 속도를 높여 내년 2분기로 예정된 1만600가구의 입주를 1분기로 앞당기고, 매입임대 물량의 조기 입주도 추진해 내년 3분기 입주 예정인 8,000가구는 2분기까지 입주시키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보도국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