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번 달 초 총파업에 나섰던 돌봄 전담사 단체가 다음 달 2차 파업에 나서겠다고 공식화했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 3차 대유행 속에서 초등 돌봄 대란 우려가 또다시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지환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6일, 처우 개선을 외치며 거리로 나섰던 전국의 초등 돌봄 전담사들. <br /> <br />교육 당국이 여전히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며 추가 파업 예고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. <br /> <br />"16년 참아왔다! 시간제 땜질 도금 중단하라!" <br /> <br />1차 파업 이후 3주 만에 노조와 교육 당국, 교원 단체 등이 협의체를 만들어 첫 회의를 했지만, 접점을 찾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학교 비정규직 노조는 다음 달 8일부터 이틀 동안 2차 돌봄 파업에 들어가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[박미향 / 전국학교비정규직노조 위원장 : 각각의 참가자들의 어려움만 호소하는 자리였다고 생각합니다. (요구 사항을) 제대로 관철하기 위해서 2차 파업을 선포할 수밖에 없습니다.] <br /> <br />돌봄 전담사 단체가 요구하는 것은 크게 두 가지. <br /> <br />돌봄 교실의 운영 주체를 지방자치단체로 옮기는 '온종일 돌봄법'의 철회와 돌봄 전담사들의 시간제 근무 폐지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교사들은 지자체 이관을 찬성하고 있는 데다, 시도 교육청마다 입장이 달라 협의체도 뾰족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1차 파업 당시 전국 돌봄 전담사 10명 가운데 4명꼴로 참석하면서, 1만2천여 개 돌봄교실 가운데 4천2백여 곳이 운영에 차질을 빚었습니다. <br /> <br />다음 달에도 돌봄 공백이 우려됩니다. <br /> <br />특히 코로나19 3차 대유행으로 지금도 학교와 어린이집은 최소한의 긴급 보육만 하는 상태라, 학부모들의 근심은 더욱 깊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아이를 돌봐줄 사람을 찾기도 어렵고, 육아휴직이나 휴가를 더 내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성지윤 / 초등학교 1학년 맞벌이 학부모 : 저희는 시댁이나 친정이나 도와주실 분들이 없거든요. 퇴근해서 아이를 데려올 수 있는 6시 반까지 (아이가) 학교에 있어야 한단 얘기예요, 최소한. 돌봄 교실 갔다가 피아노 갔다가 태권도 갔다가….] <br /> <br />특히 노조는 임금교섭과 연계해 3차 총파업도 검토하겠다고 예고한 상황. <br /> <br />학부모들은 다음 달 1일에 다시 열리는 협의회에서 긍정적인 대책이 나와, 돌봄 걱정이 조금이나마 해소되기를 간절히 바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지환[kimjh0704@ytn.co.kr]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※ '당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01125182830150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