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년 전 협력업체 직원으로 태안화력발전소에서 일하다 숨진 고 김용균 씨의 2주기가 나흘 앞으로 다가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여전히 산업 현장은 별로 달라진 게 없다는 비판이 나오는 가운데 '중대재해기업처벌법' 제정을 촉구하는 목소리는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경수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24살 청년 김용균 씨가 어둡고 위험한 컨베이어 벨트에서 홀로 석탄을 치우다 숨진 지 어느덧 2년. <br /> <br />이제는 챙겨줄 수 없는 26번째 생일날에 김 씨의 유족과 동료가 국회 앞에 모였습니다. <br /> <br />김용균 씨가 숨진 태안화력발전소의 안전설비가 일부 개선되긴 했지만,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협력업체의 비정규직 노동자가 안전 인력과 설비가 부족한 현장에서 홀로 위험하게 일하는 이른바 '위험의 외주화'가 여전한 겁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인천 영흥화력발전소에서 석탄재를 싣던 화물차 기사 심장선 씨가 추락사한 사고도 김용균 씨의 죽음과 다를 바 없다는 비판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김용균 씨 2주기 추모제에 함께한 심 씨의 유족도 고인의 억울함을 풀어달라며 눈물을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[고 심장선 씨 아들 : 아빠 억울함 풀어드리기 위해서 많이 노력할 거니까 끝까지 할 거고요.] <br /> <br />[김미숙 / 고 김용균 씨 어머니 : 괜찮아, 괜찮아 할 수 있어. 아빠를 위해서 할 수 있어. 나도 하잖아. 아들을 위해서.] <br /> <br />이른바 '김용균법'으로 불리는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안이 만들어지긴 했지만, 법 적용 범위가 좁고 현장에서 체감할 만한 변화를 끌어내기엔 부족하다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사망사고가 발생한 기업의 최고 경영자를 엄히 처벌하는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을 만들어, 기업이 책임지고 안전한 환경을 만들게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. <br /> <br />[김미숙 / 고 김용균 씨 어머니 : 안전을 방치한 기업을 처벌할 수 있는 중대재해기업처벌법 결과물을 아들 용균이의 묘비 앞에 가져다 줄 수 있어야 죄 많은 엄마의 마음을 이렇게라도 노력했다고 전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.] <br /> <br />오는 9일, 고 김용균 씨의 2주기를 하루 앞두고 열리는 올해 정기국회 마지막 본회의에서 정치권은 과연 어떤 결론을 낼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경수[kimgs85@ytn.co.kr]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. <br />[카카오톡]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[전화] 02-398-8585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01206183939659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