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로나 경제난에 미국 500만 가구, 한겨울 퇴거 위기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19 대유행이 장기화하면서 미국 내 빈부격차가 심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잇따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번에는 수백만 가구가 내년 1월 집을 잃고 거리로 쫓겨날 위기에 처했다는 소식입니다.<br /><br />이상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코로나19로 인한 경제난에 집세를 감당하지 못한 미국 세입자들이 한겨울에 집에서 쫓겨날 위기에 직면했습니다.<br /><br />월스트리트저널은 내년 1월부터 집세를 내지 못하는 세입자에 대한 집주인의 강제 퇴거 금지 조치가 중단된다고 보도했습니다.<br /><br />앞서 미 질병통제예방센터가 코로나19 확산을 막고자 강제 퇴거를 한시적으로 금지했는데 1월로 적용 기간이 끝난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올해 말까지 미국 세입자들의 밀린 집세는 700억 달러, 우리 돈 약 76조4천억 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됩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미전역에서 집세를 내지 못한 240만∼500만 가구가 퇴거 위험에 노출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세입자 강제 퇴거 금지 조치가 연장돼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수백만 가구가 거리에 나앉을 위기에 역설적으로 미국 주택시장은 호황을 누리면서 코로나19 대유행이 빈부격차를 심화한다는 지적도 제기됩니다.<br /><br /> "당분간 소득과 부의 불평등이 악화하는 상황이 지속될 것입니다. 이는 경기 침체의 특징이지만 이번에는 더욱 그렇습니다."<br /><br />여기에 코로나19는 특히 기저질환자의 삶에도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뉴욕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지난 3월 이후 미국에서 당뇨병이나 알츠하이머, 폐렴 등을 앓던 기저질환자의 사망이 질환별로 10~15%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로 의료시스템이 정상 작동하지 않았거나 경제적 충격으로 충분한 의료비 지출이 어려웠을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남미 브라질에서는 올해 1∼11월 사망자가 131만4천여 명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이상현입니다. (hapyry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