연말 대출창구 닫는 은행들…'풍선효과' 더 커질 듯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걷잡을 수 없이 불어나는 가계대출에 대한 금융당국의 질책에 은행들이 대출 금리 인상이나 한도 축소에 나섰지만,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죠.<br /><br />그러자 아예 연말까지 돈줄을 닫는 은행들까지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돈이 급한 사람들이 피해를 볼 형편입니다.<br /><br />이동훈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11월 한 달간 늘어난 은행 가계대출은 13조6,000억 원.<br /><br />사상 최대 증가 기록을 갈아치웠습니다.<br /><br />금융당국의 규제 시행 전 막차 수요가 몰려 신용대출이 대부분인 기타대출 증가가 사상 최대 7조4,000억 원을 기록하며 주택담보대출 증가액 6조2,000억 원을 넘어섰습니다.<br /><br />그러자 당국의 지침에 따라 지난달 말부터 신용대출을 조여오던 은행들이 연말 대출 창구를 아예 닫아버렸습니다.<br /><br />KB국민은행의 주택담보·전세대출 모집 중단에 이어 신한은행도 대출모집인을 통한 주택담보대출을 접수하지 않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신용대출도 마찬가지입니다.<br /><br />우리은행은 앞서 주력 상품 판매를 중단했고 KB국민은행은 연말까지 1억 원 넘는 모든 가계 신용대출을 막기로 했고, 신한은행도 연말까지 직장인 신용대출 비대면 신청을 받지 않고 전문직 대출 한도도 최대 3억 원에서 2억 원으로 줄였습니다.<br /><br />돈줄이 막히자 금리가 높은 소액대출이나 제2금융권으로 밀려나는 '풍선효과'는 현실화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달 2금융권 가계부채 증가액이 4조7천억 원으로 4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한 것이 그 예입니다.<br /><br /> "1 금융에서 2 금융, 2 금융에서 바깥쪽으로 이동하게 되거든요. 가계 입장에서 보면 나가야되는 이자가 상당히 더 많아질…"<br /><br />일각에서는 내년 상반기 이자 상환 유예 등 코로나19 금융지원이 끝나기 전 제2금융권의 부실 가능성에 대비한 선제 조치를 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동훈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