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미국·중국 부품 수입 기조 변화…한국 무역 대응 필요

2020-12-14 1 Dailymotion

미국·중국 부품 수입 기조 변화…한국 무역 대응 필요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과 중국의 무역 전쟁으로 한국은 고래싸움에 새우등 터지는 어려움을 겪었는데요.<br /><br />중국은 코로나 이후 내수 산업 비중을 높이면서 수출품 제조용 중간재 수입을 줄이는 반면, 미국은 자국내 공장 유치를 강화하면서 중간재 수입을 늘리고 있다고 합니다.<br /><br />양대 수출 시장의 기조 변화에 대한 한국 무역의 대응이 필요합니다.<br /><br />김지수 기자가 짚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올해들어 7월까지 중국의 부품·소재 등 중간재 수입액은 3,055억 달러, 1년 전보다 37% 급감했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 사태 탓에 무역액 자체도 4.1% 줄었지만 수입액 중 부품·소재 비중이 14%포인트나 떨어졌습니다.<br /><br />한국, 일본 등지에서 반도체 같은 부품·소재를 대거 사들여 만든 제품을 수출하던 중국이 코로나 사태로 인한 세계 공급망 불안을 계기로 자체 조달을 늘렸음을 짐작케 하는 대목입니다.<br /><br />반면, 미국에선 반대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올해들어 9월까지 수입액 중 부품·소재 비중이 4%포인트 가량 늘어난 겁니다.<br /><br />트럼프 행정부 4년간 해외진출 기업을 본국으로 복귀시키는 '리쇼어링' 정책 덕에 자국내 완제품 생산이 늘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이를 반영하듯, 미국 제조업 경기 지표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는 10월 59.3으로, 2년 만에 최고치였습니다.<br /><br />중국에 부품, 소재를 수출해 가공된 제품을 미국에 수출하는 형태가 많은 우리 기업들의 사업방식에 변화가 필요해진 겁니다.<br /><br /> "한국의 경우 중간재 비중이 전체 무역 중 60%에 달하고 있기 때문에 이렇게 세계경제가 지역화가 될 경우 상당 부분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이고요. 리쇼어링에 대한 정책적인 지원이…"<br /><br />자국내 생산을 늘리고 중국산을 제재하는 미국을 겨냥해 해외로 나간 우리 기업들의 복귀를 촉진하고 기술 격차를 벌려 중국의 추격을 따돌리는 이중 대책이 필요하다는 이야기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지수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