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로나19로 1년 '외교농사' 고전…한중일정상회의 불투명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세계적인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올 한해 외교분야 역시 직격탄을 맞았습니다.<br /><br />특히 대면외교 기회가 현저히 줄어들었는데요. 연말 재확산 추세가 거세지면서, 연내 개최를 추진해온 한중일 정상회의도 사실상 해를 넘길 수밖에 없다는 관측에 무게가 실립니다.<br /><br />서혜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코로나19는 대면외교의 폭을 현저히 줄여놓았습니다.<br /><br />하늘길은 막혔고, 유엔총회를 비롯한 국제회의들은 줄줄이 화상으로 전환됐습니다.<br /><br />대면외교의 위축은 숫자로도 드러납니다.<br /><br />강경화 외교장관은 지난해 총 30개 국가를 누볐습니다.<br /><br />반면 올해 방문한 국가는 7곳에 불과합니다.<br /><br />연초에 미국과 독일, 스위스와 영국 등을 다녀온 뒤 반 년간 출장을 가지 못하다 올해 8월 독일을 다시 찾으며 해외출장에 시동을 걸었지만, 코로나19의 전세계적 재확산으로 발이 다시 묶이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한중일 정상회의 역시 직격탄을 맞았습니다.<br /><br />올해 의장국인 한국은 이 자리를 중요한 정상외교 기회로 활용하고자 했습니다.<br /><br />또 회의가 연기될 것이라는 관측에 대해서도 '아직 결정된 건 없다'는 입장을 유지하며 회의 개최를 위해 노력했습니다.<br /><br /> "시기와 조건 등을 포함해서 아직 정해진 바가 없습니다."<br /><br />하지만 한국과 일본 모두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하는 만큼 회의를 내년으로 넘길 수밖에 없다는 것이 외교가의 중론입니다.<br /><br />앞서 일본언론은 코로나19뿐 아니라 한국과 일본이 일제 강제징용 배상을 둘러싼 해법을 찾지 못해 회의의 연내 개최가 보류됐다고 보도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또 올해 초부터 의욕적으로 추진해온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 역시 코로나19로 인해 무기한 보류되는 모양새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서혜림입니다. (hrseo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