벼랑 끝 집합금지 업종…1인 시위에 소송전까지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감염 확산 추세가 이어지자 정부가 거리두기 조치를 한 주 더 연장하면서, 집합금지 대상인 업종 종사자들의 고충도 커지고 있죠.<br /><br />릴레이 1인 시위에까지 나서게 된 이들의 목소리를 정인용 기자가 들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한 헬스장 운영자가 피켓을 들고 국회 앞에 홀로 섰습니다.<br /><br />한 차례 더 연장된 거리두기 조치에 문을 닫는 날이 길어지자 결국 거리로 나선 것입니다.<br /><br />언제 나아질지 모르는 상황 탓에 재난지원금 소식은 공허하게 다가올 뿐입니다.<br /><br /> "소규모 업장은 월세, 관리비 했을 때 최소 500만 원 지출이 되는 상황이고 큰 피트니스 센터는 3천만 원까지 지출이 되는… 환불만 감당하기에도 벅찬 상황…"<br /><br />요가나 복싱 등 다른 실내체육업 종사자들도 1인 시위에 동참했습니다.<br /><br /> "알바 같은 걸 구하고 있는데 요식업계도 힘들다 보니까 알바 자리 구하기가 쉽지 않고 생계 자체가 어려워진 상태…"<br /><br />수도권 학원 운영자들도 상황은 마찬가지.<br /><br />특히 예체능 분야는 비대면 수업이 쉽지 않다 보니, 지출만 늘어가고 있는 실정입니다.<br /><br /> "온라인 강의를 시도했었는데 음악이다 보니까 소리가 끊기고 장비에 대한 문제도…2주나 3주 단기간에 끝날 일이라면 참고 이겨낼 수 있겠지만…<br /><br />고통을 마냥 떠안고 있을 수만은 없다는 생각에 실내체육시설 150여 곳과 학원 300곳 가까이는 이번 주 정부를 상대로 손해배상청구 소송에도 나서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좀처럼 감염 확산세가 꺾이지 않고 있어 거리두기 조치가 장기화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이들의 피해도 눈덩이처럼 불어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정인용입니다. (quotejeong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