올 한해 힘겨웠던 K-방역…의료체계 '전전긍긍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올 한해 전 세계를 감염병 대유행으로 몰고 간 코로나19는 지금도 맹위를 떨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의료진의 고군분투와 국민의 동참으로 K-방역의 성과를 이뤄냈지만 의료체계 허점도 고스란히 드러났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와 함께 한 올 한해를 돌아보고 앞으로의 과제를 짚어봤습니다.<br /><br />김장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전국에서 모인 구급차들이 대구에 집결했습니다.<br /><br />1월 20일 국내에서 첫 환자가 나온 지 한달 만에 코로나19가 대구·경북 지역을 휩쓴 겁니다.<br /><br />하루 909명까지 확진자가 나왔지만, 각지에서 지원의 손길이 모이면서 1차 유행을 넘겼습니다.<br /><br />이후 빠른 검사와 추적 조사가 핵심인 3T 전략을 통해 2,300만명이 참여한 4·15 총선까지 치르며 K-방역을 세계에 알렸습니다.<br /><br /> "빨리 찾는다는 건 검사를 충분히 많이 한다는 거고요. 주변 사람을 다 찾아서 격리하려면 역학조사를 철저하게 하는 거죠. 한국 방역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"<br /><br />하지만 5월 황금연휴를 계기로 이동량이 늘면서 확산세는 다시 고개를 들었고, 8월 들어 서울 도심 집회를 기점으로 위기는 또 찾아왔습니다.<br /><br />중환자 병상과 역학조사관 부족, 공공의료체계 허점이 노출됐고, 감염병 컨트롤타워의 중요성도 부각되며 질병관리청이 출범했습니다.<br /><br /> "공공병원의 90% 이상이 300병상 미만입니다. 공공병원들의 규모를 키워서 중환자 능력을 키우는게 향후 공공의료 발전방향의 핵심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."<br /><br />그사이 의대 정원 확대 등 정부의 4대 의료정책 추진에 반발한 의료계 파업은 의대생 국시 거부로 이어졌고, 아직도 문제는 완전히 해결됐다고 보기 어렵습니다.<br /><br />겨울철 수도권에는 또다시 3차 유행이 찾아오면서 코로나19는 장기화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백신과 치료제를 통한 대응이 가능해질 때까지 서둘러 의료체계 재정비를 해야 하는 시험대에 선 순간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장현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