신규 확진자가 이틀 연속 큰 폭으로 감소하고, 각종 지표들이 개선되면서 5인 이상 모임을 금지한 특별방역대책의 효과가 조금씩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요양병원의 집단감염 우려가 여전히 남아 있어 정부가 현행 코호트 격리 방식을 바꾸는 등 개선 방안을 마련했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박홍구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달 24일부터 5인 이상 식사를 금지하는 강력한 방역조치가 시행된 지 열흘이 지났습니다. <br /> <br />이 기간 동안 하루 평균 지역 발생 확진자는 948명으로 전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지난 이틀 사이 눈에 띠는 변화가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하루에 216명, 147명이 감소한 것입니다. <br /> <br />연휴, 검사량 감소의 영향도 있지만 5인 이상 모임과 식사를 못하게 하고, 스키장과 해돋이 명소를 폐쇄한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주말 이동량은 최근 2달 가운데 가장 낮았고, 감염재생산지수도 계속 떨어져 1 정도로 내려온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[손영래 /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 : 더 이상 확산을 멈추고 아슬아슬한 저지 국면에 계속 진입해 있거나, 혹은 정점을 지나 완만하게 감소하고 있는 국면으로 보고 있으면서] <br /> <br />사회적 거리두기 효과가 나타나지만 요양시설의 집단 감염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인천 계양구와 서울 구로구, 고양시 덕양구 등 요양시설에서는 확진자가 쏟아져 나왔으며 지난 한달 간 요양병원에서만 환자 996명, 사망자는 99명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. <br /> <br />[김윤 / 서울대 의대 교수 : 변수가 남아 있는 것은 집단감염과 그의 연장선상에서 이게 지역사회 감염으로 연결될 위험성들이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에 이게 사회적 거리두기만으로 해결이 안 되는 문제들이라서] <br /> <br />정부는 이에 따라 앞으로는 요양병원의 집단감염을 지자체가 아닌, 중앙정부 차원에서 신속히 대응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중수본과 방대본 등 전문가들로 구성된 긴급 대응팀이 현장에 파견됩니다. <br /> <br />[손영래 /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 : 현장대응팀은 확진자과 비접촉자, 밀접접촉자 등으로 환자유형을 구분하고 공간과 종사인력을 철저히 분리하여 환자 간의 교차감염을 차단하도록 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또 현행 코호트, 즉 동일집단 격리 방식을 전면 개선해 비접촉자는 다른 요양병원으로 신속히 옮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요양병원 종사자들의 PCR검사 주기는 2주에서 1주로 강화하고 결혼식이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10103215024840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