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정적 한미 관계 기대…미중갈등 부담은 커질 듯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바이든 시대를 맞아 한미관계는 더 안정적인 궤도에 오르고, 방위비 문제 등 오래된 현안도 순조롭게 해결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미국과 가까워지는 만큼 미중 갈등에 대한 부담은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정선미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동맹관계 회복을 주요 외교 정책 기조로 내세운 바이든 행정부.<br /><br /> "우선 첫 번째로 나는 그들에게 미국이 돌아왔다고 알리고 있습니다. 우리는 돌아왔습니다. 미국은 혼자가 아닙니다."<br /><br />이에 따라 한미관계 전망도 밝습니다.<br /><br />미국 우선주의를 강조한 트럼프 행정부 시절 빚어졌던 마찰과 혼란이 줄고, 코로나19와 기후변화 대응 등 공통 관심 분야에서 긴밀히 협력하면서 안정적인 신뢰를 구축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트럼프 시대의 대표적 갈등 사안이었던 방위비분담특별협정(SMA) 협상도 조만간 타결될 것으로 기대됩니다.<br /><br />스티븐 노퍼 컬럼비아대 교수는 "바이든 행정부는 '동맹우선주의'를 채택해 한미 방위비 협상도 취임 한두달 안에 타결할 것"이라고 전망했습니다.<br /><br />다만 미국과 중국의 경쟁 한가운데 낀 한국의 난처한 상황은 그대로이거나 오히려 더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바이든 행정부는 민주주의 이념 등을 공유하는 국가들과 '가치에 기반한 동맹'을 만들어 중국을 압박할 것으로 보여, 한국에 대한 동참 압박이 커질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한국이 악화일로인 미국과 중국 두 강대국의 고래싸움 사이에 끼여 난처한 입장이라고 보도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정선미입니다. (smjung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