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찰 또 사과…부실 수사에 비위까지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경찰이 정인이 사건 부실 수사에 이어 이용구 차관 택시 기사 폭행 사건 보고 묵살, 그리고 일선 경찰관들의 잇단 비위 등으로 논란의 중심에 섰습니다.<br /><br />잇단 논란에 경찰 조직에 대한 부정적 여론도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김경목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 "다시 한번 심려를 끼쳐드린 데 대해 국민 여러분께 깊이 사죄드립니다."<br /><br />정인이 사건 부실 수사로 비판이 일자 뒤늦게 수사를 맡았던 경찰서장을 인사조치하며 뒷북 대응 비판을 받은 경찰.<br /><br />이용구 차관 택시 기사 폭행 영상을 보고도 묵살한 사실이 뒤늦게 밝혀져 또 고개를 숙였습니다.<br /><br />블랙박스 영상은 없었다며 단호하게 사건 처리 과정이 적법했다고 목소리를 높였지만, 상황은 180도 바뀐 상탭니다.<br /><br />진상 조사를 통해 조직의 치부를 돌아봐야 하는 처지에 놓였습니다.<br /><br />논란은 이뿐만이 아닙니다.<br /><br />울산 어린이집 물고문 학대 사건의 주요 범죄 행위가 경찰 수사에서 누락됐다며 청와대 청원이 제기됐고, 부실 수사 논란 끝에 재판이 연기됐습니다.<br /><br />전북경찰청에서는 광역수사대와 군산경찰서 소속 간부들이 사건 관련 뇌물을 받은 혐의로 수사를 받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최승렬 국가수사본부 직무대리는 기자간담회에서 일련의 논란과 관련해 "논란의 수사 관련해 비난받는 것은 마땅하다"며, "수사종결권 책임 수사를 이어가는 데 걸림돌이 되지 않게 세밀하게 챙기겠다"고 몸을 낮췄습니다.<br /><br />적절한 쇄신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상황.<br /><br /> "수사분권이 왜 필요했느냐에 관한 노력을 기울인 거에 비해서 수사의 실질적인 공정성 확보와 질적인 향상은 상당히 노력의 경주가 소홀했던 거 같습니다. 결국은 현장에서…"<br /><br />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경찰이 신뢰 회복을 위해 어떤 변화를 시도할지 관심이 쏠립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경목입니다. (mok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