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미 외교수장 첫 통화…"북핵문제 시급성 공감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미 외교수장이 바이든 행정부의 출범 이후 첫 전화 협의를 했습니다.<br /><br />양측은 북핵 문제가 시급히 다뤄져야 할 문제라는 데 공감하고, 문제 해결을 위해 긴밀히 협의해 나가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서혜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의 통화가 이뤄진 건 한국시간으로 오늘(27일) 오전.<br /><br />블링컨 장관이 상원 인준의 문턱을 넘어 취임하자마자 한미 외교수장 간 첫 전화 협의가 이뤄진 겁니다.<br /><br />30분간의 통화에서 두 장관은 북핵 문제가 시급히 다뤄져야 할 문제라는 데 공감했다고 외교부는 전했습니다.<br /><br />또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미 양국 간 긴밀히 협의해 나가자고 했습니다.<br /><br />기후변화와 코로나19 등 글로벌 차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협력을 강화해 한미동맹의 지평을 더욱 확대하자는 이야기도 나눴습니다.<br /><br />양측의 신속한 통화에는 바이든 행정부의 '동맹 주의'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바이든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동맹 복원 의지를 선포했고<br /><br /> "우리는 동맹을 복구하고 다시 한번 세계와 함께 할 것입니다."<br /><br />블링컨 장관도 동맹과의 협의에 방점을 둬 왔습니다.<br /><br /> "그것(대북 전략 수립)은 우리 동맹들과 긴밀히 논의하는 데서 시작할 겁니다. 특히 한국, 그리고 일본과 논의할 겁니다."<br /><br />실제 블링컨 장관은 한국에 앞서 일본 모테기 도시미쓰 외무상과도 전화 협의를 하고, 동맹을 강화하자는 데 의견을 모았습니다.<br /><br />블링컨 장관은 이 '연쇄 통화' 후 직접 트위터를 올렸습니다.<br /><br />특히 한국을 린치핀, 일본을 코너스톤으로 각각 칭하며 자유롭고 개방된 인도·태평양 지역을 위한 동맹임을 강조했는데, 중국 견제를 위한 포석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또 한미일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밝히며, 한일 관계 개선에 미측이 관심을 갖고 있단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.<br /><br />한편, 국회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있는 정의용 외교부 장관 후보자도 인준 절차를 마치는 대로 대미 소통을 시작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서혜림입니다. (hrseo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