美, 76년만에 최악 성장률…백신 속도가 회복 관건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코로나19 최대 감염국인 미국은 지난해, 2차 세계대전 이후 최악의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올해는 코로나19 사태 이전 수준으로 회복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지만 백신 접종 속도가 관건이 될 전망인데요.<br /><br />워싱턴 연결해 소식 들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이경희 특파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. 지난해 미국의 연간 국내총생산 증가율은 -3.5%. 2차 세계대전 직후인 1946년 이후 가장 낮았습니다.<br /><br />연간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건 글로벌 금융위기가 지구촌을 강타한 2009년 이후 처음입니다.<br /><br />2분기 -31.4%까지 내려가며 사상 최악의 분기 성장률을 기록했다 3분기엔 역대 최대 폭 성장을 보이며 제자리를 찾는 듯 했지만 4분기에 코로나19가 재확산하면서 결국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한 채 한 해를 마감했는데요.<br /><br />그럼에도 당초 예상보다는 선방했다는 평가입니다.<br /><br />미 정부, 의회가 합심해 3조달러 규모의 천문학적 재정 부양을 일으키고 미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 역시 과감한 제로금리 인하와 각종 통화 완화 정책으로 예상보다 빠른 경제 회복을 지원한 영향입니다.<br /><br />올해는 미국 경제가 플러스 성장으로 전환해 코로나19 사태 이전 수준으로 돌아갈 것이란 관측이 많지만 백신 보급 속도가 관건입니다.<br /><br /> 지금 우리 경제에 있어서 백신을 접종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습니다. 우리는 아직 코로나19를 이기지 못했습니다. 아직 성공하지 못했습니다. 우리는 여기에 집중해야 하고 도달해야 합니다.<br /><br />백신이 신속하고 광범위하게 접종되면 이르면 2분기부터 소비자들이 외식, 여행, 스포츠 관람을 재개하게 되면 일자리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지만 백신 보급 접종 속도가 여전히 더디고 변이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우려스러운 대목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런 가운데 미국에서도 남아공 변이 감염 사례가 확인되면서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.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발견된 변이 확진자가 미국에서도 처음으로 나왔는데요.<br /><br />사우스캐롤라이나주 보건당국은 주내에서 2명이 남아공 변이 바이러스 감염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발표했습니다.<br /><br />이 2명은 여행 이력이 없었고, 두 사람의 감염에는 서로 연관성이 없다는 설명인데요.<br /><br />주 당국자는 "치명적인 바이러스와 싸움이 전혀 끝나지 않았다는 점을 상기시켜주는 것"이라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에서 영국과 브라질발 변이 확진자가 나오긴 했지만 남아공발 변이 확산이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.<br /><br />남아공발 변이가 다른 변이에 비해 전염성이 훨씬 더 강하고 백신 효과도 떨어질 수 있냐는 분석이 나오는데요.<br /><br />미국은 연말 연초 이어진 긴 터널을 이제 좀 벗어나 있는 듯 보이는 상황인데요.<br /><br />앤서니 파우치 미 국립 알레르기 전염병 연구소장은 방송에 출연해 "남아공 변이가 자신을 괴롭힌다"며 "여전히 백신의 보호 안에 있다고 예측되지만 큰 위안은 되지 않는다"며 우려를 표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