5대 광역시에 22만 호 신규 택지 확보 예정 <br />전체 83만 6천 호 중 57만 호 도심 내 신규 사업 <br />수도권 신규 택지 후보지 추후 발표 예정 <br />공공주택 복합사업·소규모 정비로 30만 호 확대<br /><br /> <br />정부가 주택시장 안정을 위해 대규모 공급 대책을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·수도권을 포함해 전국 대도시를 중심으로 80만 호가 넘는 주택 부지를 공급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김현우 기자! <br /> <br />우선 주택공급물량이 상당하던데요. 어느 정도 규모의 주택이 공급되는 거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전국적으로 83만 호 규모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오는 2025년까지 서울 32만 호를 포함해 모두 83만 호 규모의 주택 부지를 공급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만 놓고 보면 분당 신도시급 3개, 강남 3구 아파트 수와 유사한 규모입니다. <br /> <br />지역별로 보면, 서울 32만 호를 포함해 수도권에 62만 호, 5대 광역시에 22만 호가량의 신규 부지 확보에 나섭니다. <br /> <br />57만 호는 재개발 재건축 등 정비사업과 역세권 개발, 준공업 지역 재개발 등 도심 내 신규 사업을 통해 확보합니다. <br /> <br />나머지 26만 호는 인천 경기와 지방 대도시의 공공 택지로 충당할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신규택지 부지는 확정하지 않고 추후 확정해 발표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기존에 정부가 발표한 수도권 127만 호 공급계획을 합치면 모두 200만 호 이상으로 역대 최대 수준의 공급대책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관심을 끄는 것 가운데 하나가 도심 내 역세권이나 저층 주거지 등을 개발확대 한다는 건데, 통상 이런 공공개발 사업은 인허가 절차라든지 원주민 동의 같은 과정이 난항인데요. <br /> <br />정부는 어떤 해법을 제시했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역세권 개발과 저층 노후 지역 개발과 같은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이나 노후 된 지역의 소규모 재개발로 30만6천 호의 택지를 조성하겠다는 게 정부의 구상인데요. <br /> <br />정부는 우선 택지 확보를 위한 속도를 최대한 앞당기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땅 주인이나 민간기업, 지자체가 저개발 된 도심 입지를 발굴해 LH 등에 제안을 하면, 개발 예정지구 지정을 특별법을 적용해 최대한 빨리 결정하는 방식입니다. <br /> <br />또 지구 지정 1년 이내 토지주 등 2/3가 동의하면 사업이 확정됩니다. <br /> <br />현재 개발사업은 3/4 동의인데 이 범위를 낮추기로 한 겁니다. <br /> <br />또 역세권의 용적률을 700%로 높이고, 기부채납 제한 등을 통해 사업성을 끌어 올려 토지주 등의 참여 유인을 끌어올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0204104024931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