요즘 레트로, 복고풍이 유행이죠. <br /> <br />거꾸로 우리 근대 미술과 문학을 보면 놀라운 현대성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 비결은 교류에 있음을 알려주는 전시회가 열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승은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■ '미술이 문학을 만났을 때'展,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, 5월 30일까지 <br /> <br />1930~40년대, 많은 예술가는 문인이면서 화가였습니다. <br /> <br />[소설 '반년간' 박태원 글·그림, 1933년] <br /> <br />'소설가 구보씨의 일일', '천변풍경'을 쓴 소설가이자 봉준호 감독의 외할아버지인 박태원은 삽화도 그렸는데, 마치 영화 장면 같습니다. <br /> <br />남녀가 만나는 장면은 위에서, 글자는 가까이에서 촬영한 장면처럼 보입니다. <br /> <br />시인 이상은 원래 화가를 꿈꿨습니다. <br /> <br />그림도 전위적이고 난해했습니다. <br /> <br />경성의 문인과 화가들은 '시를 그림과 같이, 그림을 시와 같이' 여겼습니다. <br /> <br />['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' 백석 글·정현웅 그림, 1938년 '여성'] <br /> <br />백석과 정현웅이 함께 한 시가 실린 잡지는 매진을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"책은 한껏 아름다워라. 그대는 인공으로 된 모든 문화물 가운데 꽃이요 천사요 영웅이기 때문이다." 이태준, 1941년, '무서록' <br /> <br />문인이 글을 쓰고, 화가가 표지와 삽화를 그린 잡지들은 '화문(畵文)'이라는 장르를 이루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들은 서로의 정신적, 물질적 후원자이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['한강의 포플라 나무' 최재덕, 1940년대, 시인 김광균 한때 소장] <br /> <br />시인 김광균은 화가 최재덕에게 '바람 같은 미소를 띤 부처님'같다는 찬사를 보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인혜 / 국립현대미술관 근대미술팀장 : 세상이 예술가를 잘 알아주진 않잖아요. 그렇지만 그네들끼리는 정말 정신적으로 중요한 일을 하고 있다는 그런 자의식을 성장해나갔다….] <br /> <br />식민지의 암울함과 문화적 격변기의 혼란 속에서도 뛰어난 작품을 탄생시킨 예술인들의 교류, <br /> <br />전문적이지만 분업화된 현재의 삶에도 많은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승은[selee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10212033351734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