학폭 가해자 매년 1만여명…"초등 학폭 증가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최근 스포츠계에서 촉발된 학교폭력 문제가 논란이 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경찰이 학교폭력 전담 경찰제를 운영하고 있지만 지금도 학교 현장에선 매년 1만 명이 넘는 학폭 가해자가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김경목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프로배구 이다영·이재영 쌍둥이 자매가 학창 시절 저지른 폭력행위가 공개되면서 학내 폭력에 대한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경찰이 학교폭력전담 경찰관, SPO 제도를 운영하고 있지만, 여전히 매년 1만 명이 넘게 학교폭력에 연루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경찰에 따르면 SPO 제도가 운영되기 시작한 2012년부터 8년간 초·중·고교 포함 학폭 가해자는 연평균 1만5천여 명 수준.<br /><br />SPO 제도 운영 직후 숫자가 감소했지만, 시간이 지나면서 학교급 별로 다시 증가세가 나타나기도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초등학생 가해자의 경우 다시 늘어나는 추세입니다.<br /><br />자아 형성이 상대적으로 느린 초등생들이 맞벌이 가정 증가로 주변의 관심에서 멀어지고 폭력적인 콘텐츠 등에 노출되는 빈도가 늘어나는 점이 원인으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 "과거에 비해서 자유분방하게 자녀를 양육하고 있고 또 컴퓨터 게임 같은 콘텐츠를 접하면서 폭력을 재미와 게임으로 즐기는 분위기가 생겼기 때문에 그런 것들이 요인이…"<br /><br />전담 경찰들이 학교마다 있지만, 인력 등 한계로 사실상 사후 조치 위주로 대응이 이뤄지는 상황.<br /><br />전문가들은 가정 내 아이들에 대한 모니터링과 학교 내 인권 교육, 늘어나고 있는 폭력적 영상 콘텐츠 등에 대한 규제가 동반돼야 한다고 지적합니다.<br /><br />또 학교 폭력 가해자는 언제든 사회적 비판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인식도 모두가 가져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경목입니다. (mok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