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화이자와 모더나 "남아공 변이에 백신 효과 불분명" / YTN

2021-02-18 3 Dailymotion

화이자, 한 달도 안 돼 "남아공 변이에 백신 효과 불분명" <br />모더나도 같은 의학지에 비슷한 조사 결과 게재 <br />남아공, 아스트라제네카 대신 존슨앤드존슨 백신 접종 시작<br /><br /> <br />화이자 코로나19 백신이 남아프리카공화국발 변이 바이러스에 예방 효과가 불분명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화이자는 남아공 변이에 효력 감소가 거의 없다고 했는데 한 달도 안 돼 말이 바뀐 셈입니다. <br /> <br />모더나도 비슷한 결과를 내놓으면서 아스트라제네카에 이어 3대 제약사 백신이 모두 남아공 변이에 효과가 불분명하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여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달 말 화이자는 자사 백신이 남아공발 변이 바이러스에 효과 감소가 거의 없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남아공 변이로 만든 바이러스에 대한 백신 접종자의 항체 역가를 살폈는데 감소치가 두 배 미만으로 나타났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[필립 도미처 박사 / 화이자 수석 개발자 (지난달) : 이 핵심 변이에서 찾은 것은 변이가 있든 없든 혈청 면역력이 생긴 사람들의 바이러스를 활성화할 수 있는지에 기본적으로 아무런 차이가 없었다는 것입니다. 따라서 매우 안심이 되는 결과였습니다.] <br /> <br />그런데 한 달도 안 돼 이 같은 연구 결과가 뒤집혔습니다. <br /> <br />화이자는 텍사스주립대 의대와 공동 실험한 결과 남아공 변이처럼 변형된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항체의 보호 수준이 3분의 2 정도 감소한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바이러스를 무력화하는 데 얼마나 많은 항체가 필요한지에 대한 기준이 없기 때문에 기존보다 항체가 3분의 1로 줄었다고 해서 효과가 없다고 말하기는 힘들다는 주장입니다. <br /> <br />새 연구 결과는 뉴잉글랜드 의학저널에 게재됐는데 같은 의학지에 모더나도 비슷한 조사 결과를 실었습니다. <br /> <br />바로 지난달엔 자사 백신이 남아공 변이에 효과를 보인다는 입장이었지만, 현지 시간 17일, 백신의 실제 효능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는 연구 결과 논문을 실어 슬쩍 뒤로 물러섰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도 남아공 변이 바이러스에 예방 효과가 10%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나 남아공은 아스트라제네카 대신 존슨앤드존슨 백신을 도입했습니다. <br /> <br />[살림 압둘 카림 / 남아공 코로나19 자문위원 (지난 8일) : 우리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501Y.V2 (남아공 변이)에 대한 효능을 확신하지 못합니다.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대신 존슨앤드존슨 백신을 접종할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0218181135541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