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 민간인 남성이 겨울 바다를 6시간 동안 헤엄쳐 월남했다는 군 발표에 의문이 제기되자, 국방부는 솜옷에 물이 스며들지 않는 잠수복을 입었기 때문에 가능했다는 설명을 내놓았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군의 경계 실패에 대한 비판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이승윤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북한 민간인 남성이 겨울 바다를 6시간이나 헤엄쳐 월남했다고 진술한 사실이 밝혀지자 이에 대한 의문이 제기됐습니다. <br /> <br />[신원식 / 국민의힘 의원 : 군에서는 8℃라는데 저희들이 확인해본 결과 당일 날 추웠어요. 수온이 4~5℃쯤 됐다고 하는데…? 과연 헤엄을 쳐서 민간인이 넘어올 수 있는 건지?] <br /> <br />군사분계선에서 3km 떨어진 해안에서 발자국이 발견된 만큼, 최소한 3km 이상을 헤엄친 셈인데 군 당국은 처음엔 수영에 의한 월남은 불가능하다고 판단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 군은 남성이 두터운 솜옷 위에 물이 스며들지 않게 완전히 방수한 옷을 입고 오리발로 빨리 움직여 가능했다는 설명을 내놓았습니다. <br /> <br />[서 욱 / 국방부 장관 : 잠수복인데 약간 방수복처럼 되어 있는 일체형으로 돼 있는 옷에…. 솜 동복처럼 점퍼 같은 걸 완전히 다 입고…. 끈으로 다 졸라매고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….] <br /> <br />미 해군 자료를 보면, 해수 온도 7℃에서 물이 스며드는 '웻 수트' 잠수복을 입으면 3시간, 스며들지 않는 '드라이 수트' 잠수복으로는 5시간 생존이 가능합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상륙한 북한 남성은 16일 새벽 1시 20분쯤부터 군 CCTV에 최소한 3~4차례 포착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해군 부대의 CCTV에도 포착됐지만 대북 감시용이 아니라 부대 방범용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총체적인 부실 대응이라는 비판도 나오는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 경계 실패가 계속되는 육군 22사단의 동북부 최전방 책임구역이 육상과 해안을 합쳐 100㎞에 달해 근본적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군이 최전방 곳곳에 과학화 경계 시스템을 늘리는데도 경계 실패가 누적되면서 부실한 경계 태세를 바로잡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승윤[risungyoon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10218183745341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