UN인권이사회 복귀한 美 "北인권결의 지지해달라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바이든 정부 출범 후 유엔 인권이사회에 복귀한 미국이 북한 인권결의안에 대한 회원국들의 지지를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도널드 트럼프 정부와 달리 북한의 인권 문제를 중시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것으로 풀이되는데요.<br /><br />워싱턴에서 백나리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이 취임 후 처음으로 유엔 인권이사회에 참석했습니다.<br /><br />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시절 인권이사회가 이스라엘만 비판하고 중국의 인권 침해는 묵인한다는 이유로 2018년 6월 탈퇴한 이후 3년 만에 복귀한 것입니다.<br /><br />블링컨 장관은 연설을 통해 매년 3월 상정되는 북한 인권결의안 지지를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연설 이후 별도의 성명을 통해서도 북한 인권 문제를 언급했습니다.<br /><br /> "시리아와 북한에서 계속되고 있는 인권 침해, 과거 잔혹 행위에 대한 스리랑카의 책임 부족, 남수단 상황에 대한 추가 조사의 필요성 등을 포함해 전 세계의 관심 사안을 다루는 결의안을 인권이사회가 이번 회기에서 지지할 것을 촉구합니다."<br /><br />북한만 거론한 것은 아니고 내용도 원론적 수준이지만 새로 출범한 바이든 행정부의 북한 인권 중시 기조를 인권이사회 복귀 무대에서 국무장관이 직접 천명한 것이어서 주목됩니다.<br /><br />새로운 대북접근법을 고민하고 있는 바이든 정부가, 트럼프 정부와는 달리 북한의 인권문제를 주요 이슈로 다루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것으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과거 북한이 인권 문제를 지적하는 데 민감하게 반응해 왔다는 점에서 향후 북미관계에 미칠 영향이 주목됩니다.<br /><br />앞서 미국은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 재임 기간 유엔 인권이사회 이사국으로서 북한인권 결의에 공동 제안국으로 참여해왔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이 탈퇴를 지시한 이후엔 북한인권결의에 이름을 올리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이사회에 복귀했지만 아직 투표권이 없는 옵저버 신분인 미국은 이사국으로 선출되도록 노력하겠다는 방침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 백나리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