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역·규모까지 나왔지만 빨라야 7년…반짝효과 우려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 4일 주택 공급대책을 내놓은 정부가 후속 조치를 위해 바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대규모 공급대책에도 좀처럼 꺾이지 않는 집값 불안 심리를 달래기 위해서인데요.<br /><br />다만 공급 기대감만으로 집값을 잡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회의론도 없지 않습니다.<br /><br />이재동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최근 서울 주택 시장은 2·4 공급대책 발표를 전후로 상승 폭이 둔화하고 매물도 소폭 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일부 중저가 단지에서는 최고가보다 낮은 가격에 속속 매매가 이뤄지자 매수심리가 한풀 꺾인 것 아니냐는 기대감도 감지됩니다.<br /><br />여기에 2·4 공급대책 발표 20일 만에 구체적 신규택지 조성안이 나오자 공급대책이 계획만 있고 실체가 없다는 실수요자들의 불안 심리가 어느 정도 진정될 것이란 평가도 나옵니다.<br /><br /> "합의가 되면 또 바로 (발표)하고…공급이 나온다는 메시지를 주는 게 안정을 위해서는 맞다고 봅니다. 속도전은 더 빨리할 거예요."<br /><br />하지만 반짝 효과에 머물 수 있다는 우려는 여전합니다.<br /><br />이번에 지정된 광명·시흥 신규택지도 빨라야 7년 뒤에나 입주가 가능한 탓에, 시장에 기대감 이상의 영향을 미치기 어렵다는 얘기입니다.<br /><br />신규 공공택지의 토지 보상 문제와 주민 반발도 변수입니다.<br /><br /> "기존 도심에 있는 분들이 아마 반대를 할 겁니다. 너무 많은 물량이 들어오게 되면 광명시 자체의 주택 가격이 하방 압력을…"<br /><br />이 같은 관측을 뒷받침하듯, 설 연휴 직후 잠시 숨 고르기를 했던 수도권 아파트값은 이번 주 다시 상승 폭이 커졌습니다.<br /><br />재건축 추진 아파트를 중심으로 서울 강남권 집값도 여전히 들썩이는 가운데, 내 집 마련을 계획 중인 실수요자들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