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주 북한에서 근무하던 러시아 외교관이 수레를 직접 밀면서 두만강 철교를 지나 본국으로 귀국했습니다. <br /> <br />국경이 모두 봉쇄된 가운데 최근 새로 임명된 리룡남 주중 북한 대사도 육로를 이용해 부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에서 강성웅 특파원이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북한과 러시아를 연결하는 두만강 철교. <br /> <br />짐을 가득 실은 큰 수레 하나가 철길 위를 달려옵니다. <br /> <br />평양에서 근무하다 귀국하는 러시아 외교관과 가족들입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 방역을 위해 북한이 국경을 봉쇄하자 손으로 미는 수레가 등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은 항공기는 물론 동력 열차의 국경 통과를 금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러시아 외무부는 외교관과 가족들이 평양에서 국경까지 오는 데 34시간이 걸렸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두만강 철교부터 마지막 1km는 짐수레를 손으로 밀면서 걸어서 국경을 넘었습니다. <br /> <br />바람막이도 없는 수레에는 외교관의 3살 난 딸도 두툼한 옷을 입고 앉아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워싱턴포스트는 옛날 영화를 생각나게 하는 초현실적 여정이라고 표현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19일 임명이 발표된 리룡남 주중 대사도 육로로 중국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평양에서 신의주에 도착한 뒤 압록강 철교를 지나 중국 단둥으로 들어가는 경로입니다. <br /> <br />단둥에 도착해도 3주 정도 격리를 해야 해서 베이징 부임은 4월쯤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중국이 새로운 북한 대사로 내정한 것으로 알려진 왕야쥔의 평양 부임 시기는 예측조차 어렵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이 외교관까지 포함해 사람과 물자의 유입을 철저히 막고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 대사가 동시에 교체될 수 있어 북중 양측이 구체적인 절차를 마련할 것으로 관측됩니다. <br /> <br />베이징에서 YTN 강성웅[swkang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0228185652045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