신도시 발표전 땅 거래 급증…원주민들 재검토 요구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LH 직원들의 땅 투기 의혹은 이제 3기 신도시 전체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광명 시흥뿐 아니라 다른 곳에서도 투기로 의심되는 정황이 확인되면서 국민적 허탈감은 커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기존의 3기 신도시 주민들은 지금이라도 사업을 취소하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재동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3기 신도시 등 전국에서 공공주택지구로 지정된 땅 소유주들이 긴급 기자회견을 자청해 한 자리에 섰습니다.<br /><br />회견 장소는 투기 의혹을 받는 LH 직원들이 보상을 노리기 위해 나무를 심은 것으로 추정되는 시흥 과림동 부지를 택했습니다.<br /><br /> "LH 공사는 즉각 해체하라. 해체하라. 해체하라."<br /><br />이들은 3기 신도시 사업의 전면 재검토를 요구하며 투기 의혹이 밝혀지기 전까지 토지 보상 협상에 나서지 않겠다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 "60%가량의 주민들은 원주민이거든요. 그린벨트 50년의 핍박을 받으면서도 농사짓든 품을 팔든 서울로 출퇴근을 하면서 먹고 거기에 기거를 하고 살았고…"<br /><br />이미 단기 투기꾼들이 신도시 발표전부터 땅을 대거 사들여 정작 원주민들이 제대로 된 보상을 받을 수 없다는 얘기입니다.<br /><br />실제로 한국부동산원 통계를 보면 인천 계양은 신도시 발표 직전 월간 땅 거래량이 평소보다 4배 이상 늘었습니다.<br /><br />하남 교산과 남양주 왕숙, 고양 창릉 역시 3기 신도시 발표 전후로 인근 토지 거래가 확연한 증가세를 보였습니다.<br /><br />개발 정보가 발표 직전에 사전 유출됐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부분입니다.<br /><br />정부가 이번 투기 의혹을 말끔히 해소하지 못할 경우 3기 신도시 개발 과정에서의 잡음은 계속 이어질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