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식시장 조정 국면에 들어 신용대출 증가는 축소 <br />가구당 평균 은행 빚 4,930만 원 <br />2월 말 은행의 기업대출 잔액 995조3천억 원<br /><br /> <br />은행의 가계 대출 규모가 지난 2월 말 1천조 원을 넘어섰습니다. <br /> <br />1월에 비해 6조7천억 원이 증가한 것이고 금융권 전체로 보면 9조5천억 원이 늘어나 가계부채 관리가 더욱 시급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박병한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매달 사상 최대 기록을 경신하던 은행권 가계대출 규모가 1천조 원을 넘어섰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은행은 2월 말 기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이 1천3조1천억 원으로 1월 말보다 6조7천억 원 늘어났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가계대출 증가 폭은 작년 2월의 9조3천억 원에 이어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4년 이후 두 번째로 큽니다. <br /> <br />가계대출 가운데 전세자금 대출을 포함한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733조3천억 원으로 한 달 사이 6조4천억 원 증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신용대출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기타대출 잔액이 268조9천억 원으로 1월 말보다 3천억 원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1월 신용대출이 2조6천억 원 늘었는데 2월 증가분이 3천억에 그친 것은 주식시장이 최근 조정 국면에 접어들어 신용대출 증가 폭이 크게 준 것으로 분석됩니다. <br /> <br />통계청이 지난해 12월 발표한 우리나라 전체 가구 수는 2,034만 가구라 가구당 평균 빚이 4,930만 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계속 늘어나는 가계부채 관리가 큰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성태윤 /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 : 주식시장과 부동산시장을 포함해 전반적인 가격 상승이 유동성이 기반해 이뤄지고 있는데 (앞으로) 가격 하락이 이뤄지고 금리가 올라가면 가계대출 부담이 크게 증가해 매우 위험한 요인이 될 수 있어 사전관리가 중요합니다.] <br /> <br />금융위원회가 밝힌 금융권 전체 2월 가계대출 증가액은 9조 5천억 원으로 집계돼 은행 대출만 다룬 한국은행 집계보다 2조8천억이 더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은행의 기업 대출 잔액을 보면, 2월 말 기준 995조3천억 원으로 1월보다 8조9천억 원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중소기업 대출이 한 달 새 8조4천억 원이나 증가했고 대기업 대출은 6천억 원이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중소기업은 코로나19 관련 자금 수요가 있어 대출을 통한 자금 조달이 늘었지만 대기업은 회사채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해 대출 증가 폭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YTN 박병한 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0310231828790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