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북관여 속도 내는 美…이번주 방한 주목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 조 바이든 정부의 대북정책 기조가 곧 완성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이에 앞서 이례적으로 북한과 막후 접촉을 시도했다는 사실을 공개하면서 본격적인 대북 관여를 예고했는데요.<br /><br />그런만큼 이번 주 방한하는 미 국무, 국방장관이 내놓을 메시지가 주복되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워싱턴 연결해서 자세한 내용 들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이경희 특파원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. 자칫 후순위로 밀릴 수 있단 우려를 불식하고 대북정책이 바이든 정부 외교정책의 중심으로 자리잡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바이든 정부가 수주 안에 대북정책 검토가 마무리될 것이라는 언급에 이어 북한과 막후 접촉을 시도한 사실까지 공개한 건조기 대북 관여 의지를 분명히 드러낸 것으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도발을 자제하고 대화 테이블로 나오라는 대북 메시지로도 읽힙니다.<br /><br />그런 만큼 오는 수요일 취임 후 처음으로 한국을 찾는 토니 블링컨 국무,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의 행보가 더 주목될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방한 기간 조율을 토대로 본격적인 미국의 대북관여가 시작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완성 단계에 접어든 미국의 대북정책 기조를 공유하고 직접 당사자인 우리 정부의 의견을 수렴하는 동시에 이견 조율에 나설 전망인데 결국 얼마나 한목소리를 낼 수 있을지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그간 바이든 정부는 즉흥적, 일방적으로 결정되던 트럼프 정부의 대북정책과 달리 철저한 정책 검토를 통한 신중한 대북접근을 추구해왔고 '당근과 채찍'을 동시에 검토할 것이라고 밝혀왔습니다.<br /><br />필요하다면 추가 제재도 가능하다는 입장인 것입니다.<br /><br />반면 한국은 북미 관계 개선과 남북 관계 진전에 주안점을 둬왔던 만큼 다소 온도차가 있을 소지도 있어서 이 부분에 대한 조율이 이번 방한의 핵심의제가 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번에는 위안부 피해를 왜곡한 램지어 교수의 논문 관련 소식 알아보겠습니다.<br /><br />논문 인쇄 강행을 시사한 학술지 측이 사후 철회를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. 미 시사주간지 뉴요커에 램지어 교수 논문 사태의 전말을 기고했던 하버드 로스쿨 동료, 석지영 교수가 밝힌 내용인데요.<br /><br />석 교수는 "논문을 출판한 학술지, 법경제학리뷰가 논물 철회를 고려하고 있다"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일단 인쇄는 한 뒤 사후에 논물 철회를 공지하는 식이 될 것으로 전망했는데요.<br /><br />석 교수는 "인쇄본 출판 이전이든 이후이든, 논문의 철회는 그 논문에 '철회 공지'를 덧붙인다는 의미가 될 것"이라면서 "어떠한 경우에도 논문 자체를 완전히 지우거나 삭제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"고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공중보건에 대한 위험 등 긴급한 비상 상황의 경우에만 논문을 통째로 삭제하는 것이 학계의 일반적 관행인데 램지어 교수의 논문 사태가 그러한 비상 상황으로 인정되기는 어려워 보인다는 것입니다.<br /><br />학술지 측은 잇단 문제 제기에 '우려 표명'의 글을 올리고 자체 조사를 진행하는 한편 해당 논문이 포함된 3월호 인쇄를 늦춘 상태인데요.<br /><br />해당 논문이 이미 온라인으로 최종 발간됐다는 이유를 들어 우려 표명과 반박문을 덧붙이는 선에서 인쇄를 강행한다는 입장이지만, 인쇄본이 나온 뒤 사후 철회 가능성에 대해서는 아직 공개적으로 언급한 적은 없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