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G폰, 매각 안하고 접을 듯…"고용은 유지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LG전자가 스마트폰 사업을 인수할 마땅한 후보를 찾지 못해 매각하지 않고 접는 쪽으로 방향을 잡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LG 측은 인력을 가전, LG 에너지솔루션 등 다른 사업에 재배치해 고용은 유지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김지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스마트폰 일부가 둘둘 말려 들어갑니다.<br /><br />올해 초 관심을 모았던 'LG 롤러블' 티저 영상입니다.<br /><br />지난 1월 LG전자가 5년간 5조 원 가까운 손실을 낸 모바일 사업 '전면 재검토'를 공식화한 후 이 차기 스마트폰 개발은 사실상 중단 상태입니다.<br /><br />최근 LG전자는 사업 정리 방법을 매각이 아닌 철수로 가닥을 잡고 다음 달 초 이사회에서 그 방식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지난 1월 이후, 회사 안팎에선 매각·철수·축소 등 다양한 가능성이 제기됐습니다.<br /><br />지난달만 해도 해외매각이 유력했지만, 베트남 빈그룹이나 구글, 페이스북 같은 물망에 올랐던 기업들의 관심을 받진 못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매각이 어려워지자 LG전자 내부에선 고용유지를 전제로 3,700여 명에 달하는 모바일 사업 인력 재배치 논의가 이미 진행 중입니다.<br /><br />LG전자의 모바일 사업 철수가 현실화하면 국내 스마트폰 시장 구도도 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LG전자는 국내 시장의 13%를 차지하고 있어, 사업을 철수하면 같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쓰는 1위 삼성전자로 쏠림이 심화할 것이란 관측이 나옵니다.<br /><br /> "안드로이드 폰 쪽으로 가는 게 아무래도 삼성 쪽에 마켓 쉐어(시장 점유율)가 늘어난다고 봐야겠죠. 통신사의 협상력도 약화가 될 것 같고…"<br /><br />다만, 국내 시장 진출에 공을 들여온 샤오미 등 중국업체의 공세도 예상됩니다.<br /><br />이와 함께 국내 브랜드 간 경쟁체제가 사라지면서 제품 가격 인상 등 소비자 부담이 늘어날 가능성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지수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