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, 결의안 채택 ’동참’…공동제안국엔 ’불참’ <br />한국, 3년째 北 인권결의안 공동제안국에서 빠져 <br />미국, 3년 만에 다시 결의안 ’공동제안국’ 참여 <br />美, 바이든 행정부 출범과 함께 인권이사회 복귀<br /><br /> <br />유엔이 북한의 인권 침해와 반인권 범죄를 규탄하는 북한 인권결의안을 표결 없이 합의로 채택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송환 전쟁 포로의 인권 침해에 대한 우려가 처음으로 담긴 이번 결의안에 우리나라는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박상남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유엔 인권이사회는 현지시간 23일 제46차 회의에서 북한 인권결의안을 표결 없이 합의로 채택했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까지 19년 연속 채택입니다. <br /> <br />우리 외교부는 "북한 주민들의 인권이 실질적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국제 사회와 함께 노력한다는 기본 입장에 따라 작년과 마찬가지로 올해도 결의안 채택에 동참했다"고 전했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은 유럽연합(EU)이 제출한 이번 결의안에 공동제안국으로는 참여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2019년과 2020년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입니다. <br /> <br />한편 미국은 3년 만에 다시 공동제안국에 이름을 올렸습니다. <br /> <br />트럼프 행정부 때인 지난 2018년 6월 인권이사회를 탈퇴했던 미국은 조 바이든 행정부 출범과 함께 지난달 인권이사회에 복귀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결의안에는 "북한에서 오랫동안 자행됐고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제도적이며 광범위하고 중대한 인권 유린을 강력히 규탄한다"는 내용이 담겼습니다. <br /> <br />아울러 이산가족 문제의 시급성과 중요성이 강조됐으며, 미송환 전쟁 포로와 그 후손의 인권 침해에 대한 우려가 처음으로 담겼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대해 주제네바 북한 대표부의 한대성 대사는 결의안이 "인권의 진정한 증진과 보호와는 무관하다"며 "거부한다"고 반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박상남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0324061550004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