유엔 제재에 北주민 20만명 실직…일부 회원국은 "김정은 탓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인해 북한 주민 20만 명이 일자리를 잃고 식량 부족 현상도 악화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다만 일각에서는 대북제재 때문이 아니라 북한 정권의 정책 실패 탓으로 해석했습니다.<br /><br />정선미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유엔 안보리 산하 대북제재위원회 보고서에 따르면, 북한은 식량 부족 현상이 악화하면서 가격 급등과 사재기 현상이 발생했고, 의료 보건 물품 부족도 심해졌습니다.<br /><br />보고서는 "정확하게 파악할 수는 없지만, 대북 제재가 시작된 후 북한 주민들에게 의도치 않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"고 평가했습니다.<br /><br />2개 회원국은 북한에 대한 에너지 금수 조치 탓에 대중교통과 농업 분야가 타격을 입었고, 연료로 쓰기 위한 벌목으로 인해 숲이 황폐해졌다고 전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경제 각 분야에 대한 제재 영향으로 20만 명이 일자리와 수입을 잃은 것으로 추정했습니다.<br /><br /> "코로나19 대유행 기간 북한의 고립은 이미 심각한 인권 침해를 겪고 있는 북한 주민들의 고립을 의미합니다."<br /><br />다만 또 다른 2개 회원국은 대북제재가 아니라 북한 정권의 정책 실패가 주민들이 겪는 고통의 원인이라고 지적했습니다.<br /><br />안보리가 대북제재를 강화하기 5년 전인 2012년에 시행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농업. 경제 개혁 조치가 이미 실패로 귀결됐다는 것입니다.<br /><br />한편, 보고서는 중국 어선이 북한 영해에서 태극기를 달고 조업을 한 것이 확인됐다고 전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 어선의 이러한 행태는 북한과의 조업권 불법 거래를 숨기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서는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유엔 안보리는 2017년 북한으로부터 조업권을 구매하는 것을 금지했고, 북한 영해에서 어떤 형태의 조업도 제재 위반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정선미입니다. (smjung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