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'수요억제' 기조에서 '공급 확대'로 전환되면서 서울 아파트 매매 시장의 상승 폭이 줄어들며 점차 안정을 찾아가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LH 사태로 국민들의 불신이 여전한 가운데 정부는 이런 안정세를 이어가기 위해 이번 달 2차 신규 공공택지 후보지를 발표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현우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해 하반기까지만 해도 집값이 계속 오를 거라는 불안 심리로 서울 아파트값은 큰 폭의 상승 곡선을 이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공황구매, 이른바 '패닉 바잉'이 정점에 달했던 지난해 7월, 1% 이상 폭등하는 등 연간 3%가량 아파트값이 상승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2·4 공급 대책 이후 매수 심리가 안정을 찾으면서 오름폭이 축소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금리 상승과 종부세 부담이 늘면서 매물이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[김규정 / 한국투자증권 자산승계연구소장 : 주간 변동률 지표라든가 거래량 같은 것들이 수치가 조금 계속 낮아지면서 전체적으로 거래 둔화와 함께 상승세도 조금 떨어지고 일부에서는 가격이 조금 내려서 거래되는 실거래 신고 사례도 나오고 있어서….] <br /> <br />서울 수도권을 중심으로 공급 신호가 확산하고, 다주택자들의 절세 매물이 증가하면서 일단 지켜보자는 관망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2·4 대책 이전과 비교하면, 아파트를 사려는 사람보다 내놓는 사람이 더 많은 이른바 '매수가 우위'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정부는 LH 사태에도 불구하고 후퇴 없는 공급 계획 추진을 재확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[홍남기 /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: 4월 중에 신규택지 발표, 4~5월 중에 지자체 제안 추가사업 후보지 발표, 5월 중에 민간제안 통합공모 등 2·4대책을 포함한 주택공급대책을 일정대로….] <br /> <br />시장에서는 여전히 공공보단 민간 주도의 공급을 원하는 지역도 많아 주민 동의를 원만하게 이끌어 내야 하는 과제가 숙제로 남아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현우[hmwy12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0408181457319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