美 총기대책 발표 앞두고도 총격…바이든 "전염병 같아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자국 내 잇따르는 총격사건을 전염병에 비유하면서 규제를 위한 첫 조치를 발표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효과가 있을 것인지에 대한 전망은 엇갈리는데요.<br /><br />워싱턴 연결해 소식 들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이경희 특파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.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총기폭력 방지를 위한 연설에 나섰는데요.<br /><br />총기폭력을 '전염병'으로 규정하면서 최근 잇따르는 미국 내 총격사건은 공중 보건에 대한 위기라고 규정했습니다.<br /><br /> 이것은 시작에 불과합니다. 우린 할 일이 많습니다. 우리는 지금 포기하지 않을 것입니다. 미국에서 총기 폭력으로 매일 많은 사람들이 죽어간다는 건 미국이라는 국가의 흠집이 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그러면서 첫 규제 조치도 발표했는데요.<br /><br />직접 부품을 사들여 손수 제작하는 이른바 '유령총'을 엄격히 단속하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유령총은 기성품과 달리 규제 대상에서 제외될 뿐 아니라 일련번호가 없어 범죄에 사용됐을 때 추적도 어려워서 문제로 지적돼 왔습니다.<br /><br />또 권총을 소총 수준으로 쉽게 바꿀 수 있는 보조장치를 국가총기법에 따라 등록 대상으로 바꾸겠다고 밝혔는데요.<br /><br />군사용 무기와 대형 탄약 클립의 사적 소지를 금지하고 각 주가 총을 소지한 위험한 개인을 선별적으로 규제하는 붉은 깃발, 레드플래그 법안 채택을 더 쉽게 하도록 하겠다고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입법적인 뒷받침이 되지 않은 이번 조치가 과연 얼마나 실효가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.<br /><br />바이든 대통령은 대선 당시 총기 구매자의 신원조회 강화를 포함해 온라인 판매 금지, 고성능 총기 판매 금지 등을 공약한 바 있는데요.<br /><br />미 하원이 지난달 총기 구매자 신원조회를 강화하는 법안 2개를 통과시켰지만 상원에서 계류된 상태입니다.<br /><br />공화당과 총기 기업들이 헌법상 권리를 내세우며 반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로이터는 "미국은 수십 년간 학교 등 공공장소에서 숱한 치명적인 총기 참사를 겪고 있지만, 총기 규제는 여전히 미국에서 분열적인 이슈"라고 평가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정말 하루가 멀다하고 총격사건 소식이 들려오고 있는 상황인데요.<br /><br />바이든 대통령의 규제 발표를 앞두고도 5명이 숨지는 사건이 발생했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. 총기대책 발표를 앞두고 이 소식을 접한 바이든 대통령은 씁쓸한 표정을 숨기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는데요.<br /><br />사우스캐롤라이나 최북단 도시 록힐의 한 주택에서 총격이 발생해 어린이 2명을 포함해 5명이 숨졌습니다.<br /><br />용의자는 전 미국프로풋볼 선수인 필립 애덤스인데요.<br /><br />자신을 치료해주던 의사 부부와 손주 등 일가족을 대상으로 총격을 가한 뒤 자신도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수사 당국은 사건 직후 헬기와 드론 등을 이용해 범행 장소 주변을 수색하다 숨진 애덤스를 발견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에서는 지난달 각각 8명과 10명이 숨진 애틀랜타와 콜로라도 총격사건에 이어 이달 들어서도 노스캐롤라이나주에서 파티가 열리던 집에서 총격이 발생해 3명이 숨지는 등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는 총격사건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