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19년부터 '배터리 분쟁'을 벌여온 LG와 SK가 바이든 대통령의 거부권 시한을 하루 앞두고 극적 합의에 성공했습니다. <br /> <br />SK는 LG에 합의금으로 2조 원을 지급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이지은 기자! <br /> <br />구체적인 합의 내용이 나왔군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SK이노베이션이 LG에너지솔루션에 합의금 2조 원을 지급하고 배터리 분쟁을 종결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SK와 LG는 오늘 오후 4시에 이러한 내용을 담은 구체적인 합의 사항을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합의문을 살펴보면 SK이노베이션이 LG에너지솔루션에 현재가치 기준 2조 원을 합의된 방법에 따라 지급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현금 1조 원 그리고 로열티 1조 원입니다. <br /> <br />이밖에 양사는 국내외에서 진행 중인 관련 쟁송을 모두 취하하고 앞으로 10년간 추가 쟁송도 하지 않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LG에너지솔루션 김종현 사장과 SK이노베이션 김준 사장은 한미 양국 전기차 배터리 산업의 발전을 위해 건전한 경쟁과 우호적인 협력을 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또 특히 미국 바이든 정부가 추진하는 배터리 공급망 강화와 친환경 정책에 공동으로 노력하기로 했다고도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로써 LG와 SK는 지난 2월 나온 미국 국제무역위원회 ITC가 내린 최종 결정에 대한 바이든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시한을 하루 앞두고 극적 합의를 하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계속 갈등을 겪어온 LG와 SK가 극적 타결에 이르게 된 배경은 뭔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미국 언론들은 "바이든 대통령의 승리"라는 분석을 내놨습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포스트는 이번 합의가 일자리 창출과 미국 내 전기차 공급망 구축을 원하는 바이든 대통령의 승리로 평가된다고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바이든 행정부의 중재 노력 속에 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됐다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LG와 SK는 2월 ITC 결정 이후에도 합의금 접점을 찾지 못한 채 최근까지 날 선 공방을 이어왔는데요. <br /> <br />SK이노베이션은 '미국 사업 철수'까지 걸고 거부권 행사를 위해 미국 현지 로비에 힘을 쏟았습니다. <br /> <br />LG도 이에 맞서 기술을 탈취한 SK가 배상하는 게 옳고, 미국 내 자체 투자를 확대할 수 있다고 공세를 펼쳤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바이든 대통령이 지식재산권 침해를 강하게 비판해왔고, 영업비밀 침해 관련 결정이 뒤집힌 적은 없다는 점에서 거부권 행사 가능성이 낮을 것이란 관측이 우세했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 극적인 합의에 따라 LG 직원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10411163705835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