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에서 존슨앤드존슨의 얀센 백신을 맞은 뒤 희귀 혈전이 발생한 사례가 여섯 건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미 보건당국이 일시적으로 사용 중단을 권고하면서, 유럽에서도 백신 출시가 연기됐습니다. <br /> <br />국제부 조수현 기자와 함께 자세한 소식 살펴봅니다. 어서 오세요. <br /> <br />미 보건당국의 발표 내용부터 전해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미 질병통제예방센터 CDC와 식품의약국 FDA가 현지 시각 13일, 공동 성명을 냈습니다. <br /> <br />얀센 백신을 접종한 사람 가운데 6명에게서 '드물지만 심각한' 혈전이 보고됐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 중 1명은 숨졌고 1명은 위독한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6명 모두 18세에서 48세 사이의 여성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혈전은 접종 후 6일에서 13일 사이에 발생했는데요. <br /> <br />혈소판 감소를 동반하는 희귀 혈전으로,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에서 나타난 부작용과 동일합니다. <br /> <br />CDC와 FDA는 얀센 백신에 대한 조사가 끝날 때까지 일시적으로 접종 중단을 권고했는데요. <br /> <br />백악관 브리핑 내용을 정리해보면, 이번 조치가 미국의 백신 프로그램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고, 매우 조심하는 차원에서 이같이 결정했다는 게 핵심입니다. <br /> <br />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. <br /> <br />[앤서니 파우치 / 미국 국립알레르기·전염병연구소 소장 : 안전성이 중요한 것은 분명합니다. 매우 드문 사례라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. 가능한 빨리 매듭지어지길 바랍니다.] <br /> <br /> <br />그러면 앞으로 조사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CDC는 현지 시각 14일 자문위원회 긴급회의를 소집합니다. <br /> <br />얀센 백신의 안전성을 재검토하는 방안이 회의 안건으로 상정됐는데요. <br /> <br />혈전 증상과 얀센 백신 사이의 연관성을 살펴보고, 긴급사용 승인을 계속 허용할지, 아니면 특정 연령으로 제한할지를 논의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이후 FDA가 CDC 평가를 분석할 예정이고요, 자체적인 조사도 벌이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얀센 백신은 지난 2월 말 FDA의 긴급사용 승인을 받아 지금까지 680만여 명의 미국인이 접종했습니다. <br /> <br />백악관은 얀센 백신의 비중이 5%에 불과하고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어서 얀센 백신 접종 중단이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며칠 안에 얀센 백신의 안전성에 대한 결론이 내려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미 얀센 백신을 맞은 사람들도 불안할 것 같은데, 이미 맞은 사람들에 대해서는 특별한 주의사항이 있습니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10414084556960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